부산, 산업혁신구역 첫 지정… ‘탄성소재연구소’ 첫 삽

Է:2025-06-10 00:53
ϱ
ũ

사업비 342억원, 3745㎡ 규모
신소재 산업 거점으로 육성 계획

2026년 준공 예정인 ‘탄성소재연구소’ 조감도. 부산시는 해당 연구소를 산업혁신구역 내 신소재 R&D 중심지로 육성할 계획이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산업혁신구역을 지정하고, 첨단 신소재산업 육성을 위한 ‘탄성소재연구소’ 건립에 본격 착수했다.

부산시는 9일 사상구 삼락동 옛 삼락중학교 용지에서 탄성소재연구소 착공식을 열고, 내년 연말 준공을 목표로 공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산업 혁신 기반을 조성하고, 노후화된 공업지역을 재정비하기 위한 이중 전략의 하나로 추진됐다. 시는 이를 위해 중앙정부와 관계기관 간 오랜 협의를 이어온 끝에 사업 실행 기반을 마련했다.

탄성소재연구소는 총사업비 342억원(국비 65억원, 시비 277억원)을 들여 전체 면적 3745㎡ 규모로 건립된다.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로 연구동과 장비동 등 2개 동이 들어서며, 내부에는 연구실·회의실·장비분석실·기업 입주 공간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탄성소재는 자동차, 전기·전자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되는 핵심 신소재다. 진동과 소음을 줄이고 밀폐 기능을 담당하는 부품에 주로 쓰인다. 시는 소재·부품기업이 지역에 밀집한 점을 활용해 해당 연구소를 신소재 산업의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2019년 국토교통부가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 사업으로 부산을 선정한 것이 출발점이다. 이후 시는 부산시교육청, 사상구,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과 협의해 용지 매입과 분할을 마무리하고, 지난해 1월 해당 용지를 전국 최초 산업혁신구역으로 지정했다. 산업혁신구역은 건축 규제 특례와 개발부담금, 교통유발부담금 감면 등 혜택이 주어지는 제도다. 공업지역 내 토지 활용도를 높이고 지역 거점을 육성할 필요가 있는 지역에 지정한다.

시는 전체 부지 중 핵심 기반 시설 용지를 우선 분리해 조속한 사업 착수를 도모했다. 지난 5월 말 건설사업관리용역(책임감리)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공사 준비를 해왔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탄성소재연구소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첨단 신소재 연구·개발(R&D) 역량을 집중할 수 있는 시설”이라며 “부산이 고부가가치 산업 중심 도시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