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에너지기구(IEA)에서 일하는 전문가들은 한국 정부의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가 취하는 통합적 접근이 글로벌 기업 및 국제사회에서 점차 ‘합의’로 자리 잡고 있다고 평가했다.
데니스 헤슬링 IEA 가스·석탄 및 전력부서 실장과 장프랑수아 가녜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 총책임자는 지난 16일 프랑스 파리 IEA 본부에서 국민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각국 기업과 정부에서 ‘CFE가 필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헤슬링 실장은 IEA가 지난 5일 파리에서 개최한 ‘에너지 및 인공지능(AI) 컨퍼런스’에서 CFE를 향한 글로벌 AI 기업들의 관심이 높았다고 전했다. 그는 “이번에는 이례적으로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대형 기술 기업이 컨퍼런스에 대거 참여해 미래 에너지 수요준비 방안을 함께 논의했다”며 “이들 기업은 ‘24시간 365일 CFE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고 밝혔다. 헤슬링 실장은 국책연구기관 에너지경제연구원과 CFE 활용 여건을 주제로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중이다.
가녜 총책임자는 “다양한 에너지원을 통합하는 CFE 이니셔티브는 수소, 원자력 등 특정 에너지 기술 한 가지에만 초점을 맞춘 솔루션들과 달리 금융 기관의 투자 결정을 훨씬 수월하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CEM은 글로벌 청정에너지 확산을 목표로 전 세계 주요국 및 관련 국제기구가 참여해 논의하는 다자급 회의체다. 2010년 미국 에너지부 주도로 설립됐다. 가녜 총책임자는 CFE 이니셔티브 등을 포함한 전 세계 이니셔티브를 지원하고 있다.
두 전문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재집권 영향도 제한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가녜 총책임자는 “앞으로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겠지만, 청정에너지는 여전히 많은 경우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선택”이라며 “정책이 어떻게 변하든 청정에너지에 대한 강력한 모멘텀은 이미 형성돼있다”고 밝혔다. 헤슬링 실장은 “지난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도 일부 변화가 있었지만 동시에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연속성이 어느 정도 유지됐다”고 말했다.
원전의 위험성을 우려하는 시선에 대해선 위험관리에 대한 ‘투명한 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가녜 총책임자는 “모든 기술에는 잠재적인 위험이 존재하지만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정책을 실행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어떤 안전사고가 발생할 때 이니셔티브 평판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정부는 관련 경위와 위기관리 방법 등에 대해 개방적이고 투명한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다만 각국의 글로벌 이니셔티브가 이미 ‘포화’에 이른 점은 한국의 CFE 이니셔티브가 직면한 도전과제라는 지적이 나왔다. IEA 및 CEM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에서 탄소중립을 목표로 운영되는 이니셔티브는 모두 27개다. RE100(재생에너지로만 탄소배출량 0을 만드는 것),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CCUS), 수소, 원자력 또는 전기자동차 확산(EVI)에 집중하는 이니셔티브 등 분야도 다양하다. 헤슬링 실장은 “일부 이해관계자들은 ‘이미 3~4개의 유사한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고 있는데 굳이 새 이니셔티브를 가입할 필요가 있냐’고 의문을 제기한다”고 말했다.
관건은 CFE 이니셔티브가 다른 이니셔티브와 경쟁이 아닌 보완 관계임을 드러내는 것이라는 제언이다. 가녜 총책임자는 “회원국들을 포함한 각국 이해관계자에게 각 이니셔티브의 공통의 이익을 찾아줘야 한다”며 “각 솔루션이 경쟁이 아닌 보완관계라는 점을 설득할 때 투자 확산의 기회가 더 커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인증서 마련의 필요성도 언급됐다. 헤슬링 실장은 “CFE 이니셔티브를 국제적으로 인정하는 인증체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파리=글·사진 김혜지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