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군방첩사령부의 요청을 받고 체포조를 운영한 혐의를 받는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를 압수수색했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19일 경찰청 국수본과 영등포경찰서·국방부 조사본부 관계자들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우종수 국수본부장의 휴대전화도 압수했다. 우 본부장 측은 “엄정한 수사를 위해 공조수사본부까지 꾸린 상황에서 참고인의 휴대전화를 압수한 것은 매우 유감”이라며 “공조본 체제로 흔들림 없이 철저히 수사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국수본은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후 방첩사령부 요청에 따라 주요 정치 인사 체포를 위한 ‘체포조’에 강력계 형사들을 지원한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으로부터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이름을 들었지만 누군지 몰랐다”는 내용의 방첩사령부 간부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여 사령관에게 노 전 사령관과 접촉하라고 지시한 의혹을 받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검찰 조사에서 관련 질문에 진술을 거부했다. 검경은 전역자 신분인 노 전 사령관이 어떻게 비상계엄에 관여할 수 있었는지도 확인 중이다.
검찰은 최근 방첩사 장교들을 잇따라 소환조사하면서 이 같은 진술을 확보했다. 여 사령관은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병력 투입을 명령한 뒤 추가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 그는 이 과정에서 선관위 청사 내 전산실 위치가 어디인지, 서버를 탈취하는 것이 가능한지 의문이 제기되자 노 전 사령관을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노 전 사령관이 김 전 장관과 12·3 비상계엄을 사전에 모의 기획했다는 의혹도 들여다보는 중이다. 김 전 장관 변호인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검찰이 노 전 사령관과의 관계를 물었지만 더불어민주당 주장에 근거한 청탁 수사로 보고 진술 거부권을 행사했다”고 말했다. 노 전 사령관은 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캠프에서 활동했다는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