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폭탄’ 선전포고가 일파만파 후폭풍을 낳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1차 폭격 대상인 멕시코는 곧바로 보복 관세를 시사했다. 중국과 캐나다 등도 맞대응할 경우 트럼프 집권 1기 때보다 더 파괴적인 무역전쟁이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관세로 생산 비용이 상승한 기업들이 이를 소비자에게 전가할 가능성이 높아 물가 상승도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대체적이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트럼프를 향한 서한을 직접 읽었다. 그는 “멕시코는 마약 펜타닐 유행을 막으려는 미국에 협력한다는 의지를 보여 왔다”며 “이민 현상이나 마약 문제 해결책은 위협이나 관세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관세가 하나 부과되면 이에 대한 반응으로 다른 관세 조처가 올 것이고 이게 계속되면 우리는 기업들을 위험에 빠트리게 될 것”이라며 보복 관세 가능성을 시사했다.
뉴욕타임스는 “이미 많은 외국 정부가 미국의 관세에 대응해 반격할 수 있는 미국 제품 목록을 작성하고 있다”며 “또 각국이 자국 통화의 가치를 떨어뜨려 해외 구매자들에게 수출 가격을 낮춰 관세 효과를 무디게 할 수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가 10% 추가 관세를 언급한 중국은 인위적인 위안화 절하로 관세 공격을 상쇄할 수 있다. 중국은 트럼프 1기 때인 2018, 2019년 위안화를 전략적으로 평가절하해 중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유지한 바 있다.
트럼프는 미국 제조업을 보호하기 위해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정작 미국 자동차업계가 가장 먼저 타격받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등 미국 자동차 제조사들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생산 거점을 구축하고 있다. 올해 미국에서 판매된 차량의 약 16%는 멕시코에서, 약 7%는 캐나다에서 생산됐다. 미국이 멕시코산 제품에 25% 관세를 물리면 자동차 가격이 치솟아 미국 제조사부터 직격탄을 맞게 된다. 이날 GM 주가는 9%, 크라이슬러와 지프 등을 소유한 스텔란티스 주가는 5.7% 빠졌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