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윰노트] 예술가와 지렁이

Է:2024-10-04 00:32
ϱ
ũ

허영란 울산대 역사문화학과 교수


지역위기 해결에 청년·예술가 창의성 큰 도움…
안정적 활동 위한 경제적 기반 뒷받침돼야

친한 시인이 어느 날 자조 섞인 목소리로 지자체가 예술가를 지렁이처럼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행정기관이나 기업이 예술가들한테 지렁이에게 기대하듯 곤란한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요구한다는 것이었다. 부정적 시각으로 볼 일만은 아니지만, 문제는 그런 기대에 어울리는 대우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지렁이는 자연의 경작자라고 불린다. 유기물을 먹고 분해하여 식물에게 유용한 영양소를 공급하며, 땅속을 천천히 헤집어 토양의 통기성과 구조를 개선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런 이유로 지렁이는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고 퇴비화하는 친환경적인 해결자로 자주 사용된다. 비슷하게, 많은 지자체가 예술가를 지역사회에 투입해 쇠퇴한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사회적 변화를 끌어내기를 기대한다.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 문화적 특성과 가치를 고려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은 중요하다. 다양성을 존중하고 포용하며, 공동체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은 사회적 갈등을 예방하고 문제 해결의 지속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이런 접근에서 예술과 예술가는 창의적, 혁신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된다.

베네수엘라의 혁신적인 음악 교육 프로그램인 엘 시스테마는 저소득층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클래식 음악 교육을 제공해 그들의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대표적 사례다. 이 프로그램은 단순히 예술적 성과를 추구하는 게 아니라 음악 교육을 통해 협동심과 책임감을 키우고 나아가 빈곤, 폭력, 마약 문제 등 사회 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이처럼 문화예술 교육과 같은 접근은 물리적이거나 제도적인 방법과는 다른 차원에서 사회 변화를 끌어내는 과정으로 주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그러나 지렁이와 예술가의 비유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지렁이는 유기물을 분해하며 자연스럽게 생존하지만, 예술가는 창작활동 자체만으로 생존할 수 없다. 예술가들은 사회에 창의적 영양소를 제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지만, 그들의 생존을 위해서는 의식주를 위한 경제적 기반이 필요하다. 작년에 경기문화재단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22년 경기도 예술인의 연평균 소득은 1623만원에 지나지 않았다. 예술가 10명 중 4명은 예술 외의 경제 활동을 겸해야만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전국적으로 유사할 것으로 보인다.

예술가가 지역사회에서 창의적 문제 해결자로 활동하려면 거기에 전념할 수 있는 경제적 조건이 뒷받침돼야 한다. 하지만 많은 지자체는 레지던스 같은 창작 공간을 설치하고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기획하면서도 예술가의 생계를 보장하는 문제에는 충분한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 예술가의 창의성과 독창성을 활용하겠다면서도 그들이 생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그 계획은 실현되기 어렵다.

최근 지자체에서 새롭게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지렁이 같은 존재가 청년이다. 인구 감소와 경제적 쇠퇴로 인한 ‘지역소멸’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각 지자체는 청년 인구 유입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청년 예술가 유입은 이러한 정책의 이상적인 예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단순한 유인책만으로는 청년과 예술가를 지역에 정착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양질의 일자리, 적절한 교육 및 의료 서비스, 안정된 사회 기반시설과 문화예술적 환경이 조성되지 않는다면 일시적인 정책은 장기적인 효과를 내지 못할 것이다.

청년과 예술가는 지역 공동체에 활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지렁이와 달리 창의적 활동만으론 생존할 수 없기에 경제적·사회적 기반을 확보해야 한다. 위기에 처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그들의 창의성·혁신성을 활용하려고만 할 게 아니라 그들이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조건과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우선이다. 이것은 쉬운 과제가 아니다. 하지만 ‘지역소멸’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결코 외면해선 안 되는 중요한 과제다.

허영란 울산대 역사문화학과 교수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