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의 혁신 속도는 느려지고 유용성은 제한적이며 AI를 실행하는 데 드는 비용은 여전히 과도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일(현지시간) “AI가 할 수 있는 일과 투자자에게 줄 수 있는 수익 모두에서 상당한 실망감을 줄 수 있다”며 “AI 혁명은 이미 흐름을 잃고 있다”고 보도했다.
WSJ은 먼저 AI의 개선 속도가 느려지고 있다고 짚었다. 오픈AI의 ‘챗GPT’와 구글의 ‘제미니’ 같은 대형언어모델(LLM)은 방대한 양의 인터넷 텍스트를 학습시킴으로써 기능 개선을 이뤄왔다. 하지만 이들은 이미 대다수 텍스트를 학습했으며 추가로 학습할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이다. 엔지니어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AI가 생성한 데이터인 ‘합성 데이터’로 눈을 돌리고 있는데, 이런 접근 방식은 자율주행 기술에 적용된 바 있으나 효과가 거의 없었다.
인지과학자이자 AI 스타트업 창업자인 게리 마커스는 “챗GPT와 같은 AI는 초기에 빠르게 개선됐지만 지난 14개월 반 동안 우리가 본 것은 점진적인 증가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
AI의 상품성은 여전히 불확실한 상태다. AI 스타트업 스카이플로의 최고경영자이자 소프트웨어 대기업 세일즈포스의 부사장이었던 안슈 샤르마는 “마이크로소프트나 구글과 같은 대기업들은 충분히 많은 사용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하지만, 그렇게 하려면 장기간에 걸쳐 막대한 자금을 지출해야 한다”면서 “가장 많은 자금을 투자받은 AI 스타트업들조차 그런 경쟁을 견딜 수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엄청난 운영 비용도 AI의 수익성에 의문을 갖게 한다. AI 운영 비용은 제대로 추정된 적이 없지만 훈련 비용보다 훨씬 더 크다는 건 분명하다. 분석가들은 AI가 답을 생성할 때 사용하는 자원은 검색에 비해 훨씬 크기 때문에 광고 수입으로 충당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본다.
게다가 AI 사용이나 매출은 기대만큼 늘지 않고 있다. WSJ은 “AI에 대한 현재의 엄청난 투자는 AI가 훨씬 더 발전하고 빠르게 채택될 것이라는 생각에 기초한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 드러나는 증거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김남중 선임기자 nj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