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건강] 유난히 길었던 설 연휴 오랜만에 가족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휴식을 즐기던 권 모씨(남, 52세)는 명절음식을 많이 먹었는지 연휴 끝 무렵부터 배가 아프고 체한증상이 지속됐다. 연휴가 끝나자마자 가까운 병원에 가 소화제를 처방받았다. 그런데 약을 먹어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더 심해져 응급실을 찾았다.
권 씨의 진단명은 급성심근경색. 심근경색이란 심장의 혈관, 관상동맥이 막혀 피가 원활히 공급되지 못해 심장근육에 손상이 오는 상태를 말하며 사망률이 40-50%에 달하는 치명적 질병이다. 가슴을 누르거나 조이는 듯한 통증이 생기는데 당뇨나 비만환자, 통증에 둔감한 경우, 또 심근경색이 심하지 않을 때는 흉통이 나타나지 않거나 제대로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칫 체한 것으로 오인해 방치해 생명을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고려대 안산병원 순환기내과 안정천 교수는 “흉통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속이 답답한 증상이 30분 이상 지속되고 동시에 식은땀, 어지럼증,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급성심근경색일 가능성이 높다”며 “이 경우 막힌 혈관을 즉시 열어줘야 심근괴사를 막을 수 있는 응급상태이기 때문에 의심증상이 있다면 가볍게 여기지 말고 병원응급실을 찾아야한다”고 조언했다.
심근경색환자의 가장 위험한 시기는 발병 첫 48시간이다. 몇시간 시간에서 수일 사이에 경색범위가 증가해 심실세동과 같은 부정맥이 발생해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치료법으로는 약물요법을 사용하거나 외과적 시술을 활용한다. 다리 정맥이나 내유동맥을 이용, 막힌 심장혈관의 위·아래를 이어 붙여 우회로를 만드는 심장동맥우회술과 용수철 모양의 스텐트를 삽입해 혈관의 폐쇄부위를 확장시켜 혈액의 순환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스텐트삽입술이 있다.
심근경색은 요즘 같은 추운 날씨에 더 많이 발생한다. 급격한 기온하락에 혈관이 수축해 심근경색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고령, 고혈압, 콜레스테롤과 지방, 당뇨병, 흡연, 비만,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혈액 내 노폐물이 혈관 내벽에 붙는 동맥 화증이 심장 관을 막아 심근경색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고 혈관 경련으로 혈액순환이 감소된 것이 원인인 경우도 있다.
안 교수는 “식생활의 서구화와 패스트푸드처럼 콜레스테롤을 많이 함유한 음식의 섭취를 즐기는 등 혈관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이 많아져 협심증, 심근경색 등 순환기질환의 발생연령이 낮아졌기 때문에 나이가 젊다고 방심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창연 의약전문기자 chyj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체한 줄 알았는데 급성심근경색이라고?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