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용 의원, “유효기간 2016년에 전량 폐기”…계획적인 관리 ‘시급’
[쿠키 건강] 국가 비축 항바이러스제가 대량폐기 위험에 처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2008년 이전까지는 항바이러스제 확보에 소홀하다가 2009년도 신종플루 유행 당시 구매량이 급격하게 증가해 계획적으로 관리되기 보다는 전염병 확산 등 국가위기 상황에서 갑자기 증가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윤석용(한나라당)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의원은 8일 보건복지 2009결산 질의에서 “2009년도 항바이러스제 대량구입으로 2010년 6월말 기준, 1152만명분이 남았으며, 2009년에 구입한 약품의 유효기간인 2016년에는 항바이러스제 대량 폐기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에 따르면 항바이러스제 2009년도 예산총액은 2438억여원으로 정부는 총 1369만명분의 항바이러스제를 한꺼번에 구매했다. 신종플루 유행이 대량구매 비축 이유다.
항바이러스제 비축량은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의 유행을 계기로 항바이러스제 비축을 시작, 2008년 조류인플루엔자(AI)의 유행으로 비축량이 3%에서 5%로 상향조정됐며, 2009년 신종플루의 유행으로 비축량이 5%에서 20%로 상향조정됐다.
2009년도는 신종플루 유행으로 인해 항바이러스제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해 467만명분을 소진, 구매량이 월등히 앞서 1369만명분을 비축 중에 있다.
이에 따라 2010년 6월말 기준, 1152만명분이 남아 있으며 이는 WHO 권장 비축량 20%를 넘어서는 인구대비 24%의 항바이러스제를 보유량이다.
윤 의원은 “항바이러스제는 유효기간이 있는 약품이기 때문에 일시적인 대량구매는 한꺼번에 대량 폐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며 “단계별 순차적으로 항바이러스제를 비축, 유효기간 만료에 의해 대량의 폐기로 비축량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항바이러스제 대량폐기 ‘위험’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