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박정석 자연채한의원 원장>
[쿠키 건강칼럼] 올해는 예년에 비해 유난히도 봄소식이 늦게 오는 것 같다. 4월에 들어서야 이제 겨우 봄이 느껴지니 말이다. 그런데 봄이 오는 것을 두려워하는 분들이 종종 있다. 봄만 되면 발생하는 각종 알러지를 포함한 환절기 질환 외에도 춘곤증으로 포괄되는 피로, 식욕부진 등의 전신증상이 심해지기 때문이다. 그럼 이러한 춘곤증의 원인은 무엇이며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
봄은 만물이 소생하는 계절이다. 즉 기운이 상승하는 시기로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예를 들어 겨우내 얼어 있던 땅을 뚫고 씨앗이 싹을 틔워 올라오는데 얼마나 많은 힘을 쏟아 부을지 상상해 보면 이해하는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다.
자연의 일부분인 사람도 마찬가지다. 겨우내 움츠려 있던 몸과 마음이 따뜻한 기운과 함께 풀리면서 활발하게 활동을 시작하게 되는데, 그 과정을 미처 따라가지 못하면서 일시적인 피로감, 소화불량, 식욕부진, 어지럼증, 집중력 저하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그렇다면 춘곤증은 어떻게 해결해야 될까? 춘곤증은 일시적인 현상이므로 지나치게 심각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적절하게 대처하면 큰 무리 없이 지나갈 수 있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봄철은 움츠려 있던 기운이 서서히 상승하는 시기이므로 그에 맞춰 몸도 서서히 풀어줘야 한다. 즉 과격한 운동이나 활동은 피하고 자동차를 예열하듯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산책을 하는 것이 좋다. 소풍이라는 말도 따뜻한 봄바람을 맞으면서 소요(산책)하는 데서 나온 말이다.
거기에 규칙적인 식사(특히 아침), 충분한 수면, 스트레스 관리 등 기본적인 건강생활 수칙을 잘 지키면 대부분 무난하게 봄을 지낼 수 있을 것이다. 짧은 시간 낮잠을 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한 가지 부언하면, 봄철은 속에 열이 잘 생기는 계절이므로 비염, 눈병, 목감기 등이 잘 생긴다. 열이 많은 사람은 목이나 임파선이 잘 붓는데, 이런 사람은 도라지나 우엉 등 열을 식혀주는 음식을 봄철 식단에 넣어 주면 좋다.
하지만 이렇게 생활해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거나, 이런 생활 자체가 불가능한 사람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물론 간염이나 결핵, 갑상선 질환 등의 특정 질환으로 인해 춘곤증과 유사한 증상들이 나타나기도 하므로 증상이 오랜 기간 지속되거나 심할 경우 반드시 병의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봐야 한다.
춘곤증에 대해 한의원이나 한방병원에서는 사람에 따라 적절한 침구 치료나 약물요법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스트레스와 과로에 시달리는 직장인이나 학생들에게는 ‘공진단’이라는 약이 복용도 간편하면서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추천하고 싶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新건강보감] 춘곤증, 쉽게 극복하기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