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간접흡연으로 인해 폐암에 걸렸다면 치료제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브란스병원 암센터 폐암전문클리닉 김주항·조병철 교수팀은 2006년 6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비흡연자 폐암 환자 179명을 조사한 결과 간접흡연에 노출될수록 상피세포성장인자의 유전자 돌연변이 비율이 낮아 치료제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비흡연자의 폐암 발병 원인으로 알려진 상피세포 성장인자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수술 후 재발률이 낮아진다. 폐암 표적치료제인 이레사나 타세바의 주요 타깃이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유전자 돌연변이이기 때문에 돌연변이가 존재하면 표적치료제의 치료 반응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결과 과거 간접흡연 경험이 있거나 성인이 된 후 가정에서 노출된 경우, 간접흡연의 노출 연수가 길수록 상피세포 성장인자 유전자의 돌연변이율이 낮았다.
김주항 교수는 “간접흡연이 폐암 발병과 관련된 바이오마커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기존에 알려진 것처럼 폐암의 발병을 높인다”며 “또 폐암 환자에게 이레사나 타세바와 같은 표적항암제를 투여했을 때 치료효과를 떨어뜨린다”고 밝혔다.
폐암은 약 25% 가량이 비흡연자에서 발생하며 비흡연자 폐암의 발병원인은 간접흡연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조병철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간접흡연 기간이 비흡연자 폐암환자에서 상피세포 성장인자 유전자의 빈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처음으로 증명한 것”이라며 “흡연에 노출된 많은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법이나 정책적으로 공공장소에서의 금연을 홍보·계몽해 나가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최근 국제적인 종양전문학술지인 JCO(Journal of Oncology)에 ‘비흡연자 폐암 환자에서 간접흡연력이 상피세포성장인자 유전자 돌연변이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정유진 기자 uletmesmil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간접흡연 폐암환자, 치료제 효과도 떨어져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