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병원들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경영 상태를 회복하는 데는 3년 정도 걸릴 것이란 게 의료계 안팎의 대체적인 관측이었다. 하지만 공공병원마다 경영난이 심화하면서 당장 인건비 지급마저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고사 위기에 놓인 공공병원에 대한 지원을 확충하지 않으면 ‘넥스트 팬데믹’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조승연(사진)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장(인천의료원장)은 지난 24일 인천 동구 인천의료원에서 진행한 국민일보 인터뷰에서 “환자가 있는 곳에 병원을 지어주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지역 거점 공공병원의 역할”이라며 “결국 의료 접근성이 좋아야 하고 필요한 만큼 진료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인력과 시설이 보강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공병원은 땅값이 저렴한 곳에 짓다 보니 교통이 불편해 환자들이 외면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인천의료원의 경우에도 공장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제2병원을 교통이 편리한 부평구에 건립할 예정인 만큼 도심에 제2병원으로 수익성을 내고, 기존 병원은 노인 재활이나 입원 중심의 만성 병원으로 탈바꿈해 시너지 효과를 내면 적자를 해결할 수 있다고 했다.
코로나19 때 노력했던 공공병원들을 위해 손실보상금 대폭 인상 등 특단의 조치도 필요하다. 조 회장은 “코로나19 당시 10조원 가까운 예산이 투입됐는데 공공병원에 지원한 돈은 1조5000억원 수준에 그쳤다”며 “오히려 공공병원에 지원했다면 감염병 대응 등 질적 향상의 계기로 삼을 수 있었다”고 아쉬워했다.
그는 “이미 몇몇 공공병원은 은행 차입을 해서 월급을 지급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일시적인 위기라면 일회성 차입을 해서 운영하는 것이 문제가 없지만, 현재 공공병원들은 ‘다음 차입’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공공병원에 대한 지원이 지속돼야 하는 이유로 “당장 지금 전쟁이 나지 않는다고 군인을 줄일 수 없는 것과 같은 구조”라며 “다음 감염병 등을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지원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천=글·사진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