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국의 수괴를…” 이봉창·윤봉길 의사 유품 공개

Է:2023-08-04 04:03
ϱ
ũ

국립중앙박물관 광복절 맞아 전시

항쟁 다짐 선서·거사 직전 유서
가장 오래된 ‘데니 태극기’ 함께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지난해 보물이 된 ‘이봉창 의사 선서문’, 윤봉길 의사 이력서 및 유서, 데니 태극기. 국립중앙박물관은 이달 5일부터 31일까지 상설전시실 1층 대한제국실에서 두 의사의 유품과 데니 태극기를 특별 공개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이봉창(1900∼1932)·윤봉길(1908∼1932) 의사의 유품이 광복절을 맞아 공개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달 5일부터 31일까지 상설전시실 1층 대한제국실에서 이봉창·윤봉길 의사의 유품과 데니 태극기를 특별 공개한다고 3일 밝혔다. 이들 모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인 유물들이다.

지난해 보물이 된 ‘이봉창 의사 선서문’ 1931년 12월 13일 이 의사가 항일 독립운동단체인 한인애국단 제1호 단원으로 입단하면서 일본에 대한 항쟁을 다짐하며 쓴 글이다. 이봉창 의사는 선서문에서 ‘나는 적성으로써 조국의 독립과 자유를 회복하기 위하야 한인애국단의 일원이 되야 적국의 수괴를 도륙하기로 맹서하나이다’라고 썼다. 이 의사는 1932년 1월 일본 도쿄에서 당시 히로히토 일왕에게 폭탄을 던졌으나 실패했고, 현장에서 체포된 뒤 사형 선고를 받고 순국했다.

윤 의사 유품은 1932년 훙커우 공원 거사를 하기 전에 공책에 쓴 것으로, 자신의 삶을 요약한 이력서와 어린 두 아들에게 남긴 유서, 김구 선생에게 남기는 시 등이 있다.

박물관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태극기로 알려진 데니 태극기도 전시된다. 이 태극기는 1886년 당시 고종의 외교·내무 담당 고문으로 부임했다가 1891년 1월 조선을 떠난 미국인 오웬 니커슨 데니(1838∼1900)가 소장했던 유물이다. 고종이 1890년쯤 데니에게 하사했다고 전하며, 데니의 후손이 1981년 기증했다. 가로 262㎝·세로 182.5㎝로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옛 태극기 가운데 가장 큰데다 국기 제정의 초창기 역사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손영옥 문화전문기자 yosoh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