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2%대로 하락… 국고채 금리 9년 9개월 만에 최고치”

Է:2022-04-13 04:03
ϱ
ũ

외부기관들 전망치 줄줄이 하향 조정
홍남기 “정부 목표치 달성 어려울 듯”

연합뉴스

최근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는 동시에 물가는 천정부지로 솟으면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금융 시장 역시 3년물 국고채 금리가 9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는 등 요동치고 있다. 이대로라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대로 치솟고, 경제성장률 전망은 2%대로 내려앉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12일 서울 채권 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8.1bp(1bp=0.01%포인트) 내린 연 3.105%에 장을 마쳤다. 전날 3년물 금리는 19.9bp 급등해 연 3.186%로 치솟았다. 9년 9개월 만의 최고치이자, 2013년 12월 이후 첫 연 3% 돌파였다. 이날 국고채 금리 급등세는 다소 진정됐지만 금융시장의 불안함은 이어지고 있다.

이런 흐름은 전 세계적 고물가로 각국이 긴축 신호를 보내는 데 따른 것이다. 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8%를 웃돌 것이 유력하고, 한국 역시 연간 물가상승률이 4%대까지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미 지난달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0년 3개월 만에 4.1%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오는 14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외부 기관들의 국내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줄곧 하향 조정되고 있다. 지난 1월 국제통화기금(IMF)은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3.3%에서 3.0%로 내려 잡았고, 아시아개발은행(ADB)도 이달 들어 전망치를 3.0%로 낮췄다. IMF가 오는 19일 발표할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에서도 한국 성장률이 2%대로 떨어질 것이란 예상이 우세하다.

홍남기(사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올해 경제성장률이 정부 목표치에 이르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며 “물가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지금보다 훨씬 더 높게 전망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경제성장률 전망치로 3.1%, 물가상승률 전망치로 2.2%를 제시했다.

문제는 이런 상황이 대외 상황과 깊이 연관돼 있어 정부 노력만으로 쉽게 타개할 수 없다는 데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원자재 가격은 급등세가 지속되고 있고, 글로벌 공급망 차질이 장기화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이런 문제 인식에 따라 최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물가와 성장률 등 거시경제 전반을 보고했다. 보고 내용에는 여러 기관의 성장률, 물가 전망치가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심희정 신재희 기자 simcit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