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국비 110억원을 포함 총 141억원의 예산을 들여 일자리 2088개 창출을 목표로 이달부터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창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 사업’과 ‘지역혁신 프로젝트’로 추진된다.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 사업은 전자산업의 침체와 대기업 이전 등 일자리가 감소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구미, 김천, 칠곡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추진한다. 2020년부터 시작해 2024년까지 527억원의 사업비로 스마트 산단, 전자산업 고도화, 혁신클러스터 등 지역 산업과 연계한 7800여개 고용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자산업 위기 대응을 위한 기술 고도화와 경영역량 강화, 위기 근로자 맞춤형 전직지원 서비스, 사람중심 일자리를 위한 통합플랫폼 구축 등 3개 프로젝트 10개 사업을 추진한다. 또 고숙련 퇴직 기술 인력 활용, 연구 개발 청년 R&D 인재 양성, 스마트팩토리 고도화를 위한 분석 전문 인력 양성, 마케팅 역량 강화 등을 추진한다.
‘지역혁신 프로젝트’는 제조업 주요 거점지역 중심으로 4개의 생활경제권으로 나눠 추진한다. 이는 인구 소멸에 대응한 일자리 창출, 제조업과 대학 등 지역자산을 활용한 청년 유출 억제 등 지역의 시급한 현안 해결을 위한 지역별·대상별 특성을 반영한 사업이다.
안동을 중심으로 한 북부권은 고령화로 인한 인구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농식품·바이오 등 기반 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기술 경쟁력 확보 및 인력 수급을 통해 청년의 지역 유입을 유도한다.
경북도는 특히 올해 농번기 농촌의 일손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도시의 유휴 인력을 농촌에 연결하는 ‘도농상생 일자리 채움 사업’을 시작한다. 시범적으로 청송, 상주, 문경 3개 지역을 대상으로 1만명의 인력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영석 경북도 일자리경제실장은 “지역 현장의 목소리와 산업 특성에 맞게 구상된 이번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도민에게 더 많은 일자리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경북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2000여개 창출 팔걷었다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