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꿀벌 실종’ 사태가 커지면서 경북도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꿀벌 실종은 지난 1월부터 남부지방(전남, 경남)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양봉 규모가 가장 큰 경북(전국 대비 20%)도 3일 현재까지 7만6000군(전체 대비 13%)에서 피해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30군 이상 사육 농가 가운데 피해 정도가 50% 이상인 농가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여서 실제 피해는 20~30%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경북도는 꿀벌 실종 피해 농가 등에 예비비(시·군비 포함) 66억원 등 총 사업비 110억원을 긴급 투입해 양봉 농가의 벌 입식비 및 면역증강제 등 기자재를 지원하기로 했다. 꿀벌 실종 피해 농가의 경영 안정을 위해 경북도 농어촌진흥기금 50억원(융자)도 긴급 투입키로 했다.
경북 양봉산업 육성 종합계획도 추진한다. 경북 양봉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2020년 9월)에 따른 후속 조치다. 이번 종합계획은 생산기반 안정, 품종 개량 및 병해충 관리, 밀원조성 장려, 토종꿀 브랜드 육성 등 4대 전략으로 돼 있다. 2026년까지 21개 사업에 총 사업비 820억원을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
먼저 양봉 산업의 생산 기반 안정을 위해 현대화 된 사양기자재를 확대 보급하고 프로폴리스, 로열젤리 등 양봉부산물을 활용한 제품 고급화를 지원한다. 고품질 벌꿀 생산을 위한 벌꿀농축·사료제조 시설도 지원한다.
특히 꿀벌 실종 현상으로 꿀벌 개량 및 병해충 관리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꿀벌 정부장려품종인 장원벌 보급 사업을 추진한다. 장원벌은 꿀 수집 능력이 일반 꿀벌보다 30% 이상 높고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밀원 조성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도 추진한다. 양봉농가와 시·군의 밀원조성 사업 실적에 따른 인센티브도 주어 밀원 조성을 적극 유도하기로 했다. 고품질 토종꿀 브랜드 육성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브랜드 개발 용역을 시행해 토종꿀의 효능을 검증하고, 타 시도와의 차별화 및 품질 고급화 방법을 연구하기로 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