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삼성그룹 이병철 회장이 일본 경단련을 모델로 대기업을 모아 1961년 ‘한국경제인협회’로 창립했다. 설립목적은 자유시장경제와 건전한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해 올바른 경제정책을 구현하고 우리 경제의 국제화를 촉진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대기업에 우호적인 입법을 위해 정치권에 로비를 하거나, 그룹 총수의 경제범죄에 대해 선처를 요구하는 등 대기업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한 압력단체로 기능하고 있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전경련은 그동안 경제발전에 역할도 했지만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일해재단 모금 사건, 노태우 전 대통령의 대선 비자금 사건, 2002년 불법 대선자금 의혹 사건 등에 연루되면서 비판의 대상이 됐다. 특히 2016년 박근혜 정권 국정농단 사건 당시 미르·K스포츠 재단에 기업들이 거액을 출연하는 정경유착을 전경련이 주도한 것으로 드러나 치명타를 입었다. 문재인정부에서는 주요 국정 행사에 아예 초청도 받지 못할 정도로 찬밥신세였다. 그 여파로 전경련의 회원사는 한때 600개 안팎에 이르다가 450여개로 쪼그라들었다. 재계의 대표 격인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등 4대 그룹도 모두 탈퇴했다. 이명박·박근혜정부를 거치면서 전경련과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재계 대표 자리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박근혜정부 때부터는 대한상의가 더 높은 위상을 차지하며 ‘맏형’ 노릇을 했다. 대·중소기업을 아우르고 회원사 숫자도 20만에 이를 정도로 대표성을 갖는다는 이유에서다. 여기에 지난해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4대 그룹 총수로는 처음으로 회장에 추대되면서 무게추는 더욱 대한상의 쪽으로 기울었다.
그런 전경련이 부활 조짐이다. 지난 21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경제6단체장의 첫 상견례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전경련이 경제단체장들의 일정 조율 역할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경련의 위상이 새 정권을 계기로 회복됐음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윤석열정부에서 전경련의 위상과 역할에 벌써부터 관심이 쏠린다.
오종석 논설위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