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30 청년세대가 받은 전세대출이 4년 만에 3배로 급증했다.
9일 금융감독원이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대가 5대 시중은행에서 받은 전세대출 잔액은 6월 말 기준 24조3886억원으로 지난 2017년(4조3891억원)보다 5.6배나 증가했다. 전세대출 총 잔액에서 20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8%에서 16%로 늘어났다. 같은 기간 30대의 전세대출 잔액은 24조7847억원에서 63조6348억원으로 2.6배로 올랐다. 30대는 전 연령대에서 증가분이 가장 많았고, 전체 전세대출에서 점하고 있는 비율은 42%다. 두 연령대의 전세대출은 같은 기간 29조여원에서 88조원 가량으로 대폭 뛰었다.
모든 연령대의 전세대출 총 잔액은 2017년 52조8189억원에서 지난 6월 말 148조5732억원으로 150조원에 육박했다.
김 의원은 “청년층의 전세대출이 늘어난 이유는 집값 상승과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자가 마련이 어려워진 여건 때문”이라며 “전세난도 겹치면서 대출을 더 많이 받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대출 규제가 전방위적으로 강화되는 가운데 전세대출만은 성역이었다는 점도 가파른 증가세의 배경이다. 전세대출은 무주택자 등 실수요자가 주로 찾고, 실수요가 아닌 다른 목적으로 받았다 해도 명확하게 가려내기 힘들다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금융 당국도 전세대출 규제 강화 가능성에 대해선 선을 긋고 있다. 금융위는 “전세대출 등 가계부채 관리 방안은 전혀 확정된 게 없다”고 연일 강조했다. 당국은 조만간 내놓을 가계부채 관리 방안에 전세대출 규제를 포함시킬 계획도 현재로선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전세대출이 가계 부채 증가분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당국의 고심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의 지난달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의 증가폭은 전월 대비 2조3000억원 감소했으나, 주택담보대출은 전세대출(2조8000억원)과 집단대출(1조9000억원)을 중심으로 전월과 비슷한 증가세를 보였다.
이동훈 금융위 금융정책과장은 최근 토론회에서 “올 상반기 가계대출은 전세대출과 집단대출, 정책모기지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며 “실수요와 관련된 대출 위주로 늘고 있어서 정책적으로 진퇴양난에 빠져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이든 큰 폭의 금리 상승이든 ‘쇼크’가 오면 취약 차주들부터 충격을 받을 개연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
▶한은 “부동산 기대감 여전, 투기 안 줄 것”… 추가 금리 인상 시사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