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이후 세대별 일자리 양극화가 지속되고 있다. 올해 1분기에도 20대·30대 청년 일자리가 10만개 줄어들 때, 50대·60대 일자리는 40만개 늘었다. 2030 일자리는 주로 제조업과 숙박·음식업에서 줄었고, 5060 일자리는 보건·사회복지에서 많이 증가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1년 1분기 임금근로 일자리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1899만7000개로 전년 동기 대비 32만1000개 증가했다. 다만 일자리 증가 폭은 직전 분기(50만3000개)보다는 둔화됐다. 일자리 증가폭은 지난해 1분기 42만8000개에서 2분기 21만1000개로 줄었다가, 3분기(36만9000개)와 4분기에 확대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공공행정 분야에서 증가폭이 많이 감소했다”며 “일자리 사업이 지난해 3분기, 4분기에 늘었다가 연초인 1분기에는 준비 작업 때문에 감소한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늘어난 임금근로 일자리 중 90% 이상은 60대 이상 몫이었다. 연령 별로 살펴보면 60대 이상 임금근로 일자리가 29만2000개 늘었고, 50대 11만7000개, 40대 1만개 순이었다.
60대 이상과 50대에서는 보건·사회복지, 건설업 등에서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60대 이상에서는 보건·사회복지(11만4000개), 제조업(3만7000개), 건설업(3만3000개) 등에서 일자리가 늘었고, 50대에서는 보건·사회복지(3만1000개), 건설업(2만2000개), 도소매(2만개)가 주로 늘었다.
반면 청년층인 30대 이하 임금근로 일자리는 10만개 가까이 사라졌다. 30대 임금근로 일자리는 1년 전보다 6만3000개 감소했는데, 여섯 분기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20대 이하는 3만5000개 감소했고, 다섯 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30대는 제조업(-4만5000개)에서 일자리 감소 폭이 컸으며, 이외에 숙박·음식(-1만개)과 사업·임대(-1만개)에서도 일부 감소했다. 20대 이하도 제조업(-3만5000개)과 숙박·음식(-2만9000개)에서의 일자리 감소가 두드러졌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일자리 비중이 21.9%로 가장 큰 제조업에서 전년 동기 대비 2만8000개의 일자리가 줄었다. 기타 운송장비(-1만1000개), 금속가공(-9000개) 등에서 감소한 영향이다. 제조업 일자리는 생산 부진 등 영향으로 2019년 4분기부터 꾸준한 감소세를 이어오고 있는데, 지난해 2분기(-6만5000개), 3분기(-8만7000개), 4분기(-6만6000개)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줄어들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숙박·음식(-7만2000개), 예술·스포츠·여가(-1만개), 운수·창고(-1만개) 분야의 부진도 이어지고 있다. 숙박·음식 임금 일자리는 지난해 2분기부터 감소세를 이어오고 있는데,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8년 1분기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건·사회복지 일자리는 14만8000개, 공공행정일자리는 7만개 각각 증가했으며, 전문·과학·기술(5만6000개)과 건설업(5만개)도 증가했다.
세종=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