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완성차 업계의 노사 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이 잇따라 결렬되면서 하반기 경영에 경고등이 들어왔다. 한국지엠(GM)에 이어 2년 연속 무파업을 이어간 현대자동차까지 노조가 파업 수순을 밟으면서 업계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현대자동차 노조는 30일 열린 제13차 임단협 교섭에서 최종 결렬을 선언했다. 교섭 자리에는 하언태 사장과 이상수 노조지부장 등 노사 대표가 참석했다. 사측은 이날 기본급 5만원 인상(호봉승급분 포함)과 성과금 100%+300만원, 품질향상 격려금 200만원, 10만원 상당 복지 포인트 지급 등을 노조에 제시했다.
하지만 노조는 사측이 제시안 교섭안이 충분치 않다고 판단했다. 앞서 노조는 올해 임금 9만9000원(정기·호봉승급분 제외) 인상과 성과금 30% 지급 등을 요구안에 담은 바 있다. 특히 노조가 강하게 요구한 최장 만 64세 정년연장, 국내 공장 일자리 유지 등을 사측이 받아들이지 않아 이견을 좁히기 어려웠던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는 향후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오는 5일 임시대의원회를 열어 쟁의 발생을 결의하고, 7일에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파업 찬반투표를 벌일 계획이다. 중노위가 조정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조합원 투표에서 파업이 가결되면 합법적인 파업이 가능해진다.
노사 갈등뿐만 아니라 노노 갈등 문제까지 복잡하게 얽혀있어 향후 타협점을 찾기에도 난항이 예상된다.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로 이뤄진 사무·연구직 노조는 정년 연장보다는 당장 성과금 올리기가 더 중요하다고 보고 있어서다.
한국지엠 노조 역시 중노위에 조정 신청을 하기 전인 오는 5일 조합원을 대상으로 단체교섭 관련 쟁의행위 결의 찬반 투표를 진행한다. 이들은 임금 9만9000원 인상과 통상임금 150% 성과급 지급, 부평2공장 생산 물량 배정 등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7년 연속 적자 경영 등을 이유로 받아들이기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르노삼성자동차 노조는 최근 교섭창구 단일화제도에 따라 ‘르노삼성 기업별노조’를 교섭대표로 확정하고 사측과 협상을 재개할 방침이다. 강경 노선을 유지했던 노조가 지위를 상실한 데다 XM3 등 신차 판매에 집중하는 시기인 만큼 교섭에 성과를 기대하는 분위기가 내부적으로 감지된다.
최지웅 기자 wo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