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의회 의원 109명 가운데 39명이 다주택자로 재산을 신고했다. 본인이나 배우자 명의로 다수 건물을 보유하고 있는 의원이 35.8%에 달한다는 의미다. 다주택자를 투기 세력으로 규정하고 전면전을 펼치는 와중에도 5명은 아파트나 주택, 상가 등 건물을 새로 샀다. 다주택자로 새로 이름을 올린 의원들은 모두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다. 지난해 다주택을 신고했다가 집을 처분해 1주택자가 된 시의원은 2명뿐이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의 재산등록사항을 25일자 관보에 게재했다.
민주당 소속 서울시의회 경만선 의원의 부인은 지난해 충남 천안시 서북구의 저리 보금자리아파트(6700만원), 직산부영아파트(6000만원), 경기 성남시 은행동 다세대주택(1억5500만원) 등 2억8200만원을 투자해 부동산 3채를 매입했다. 경 의원은 경기 파주시 동패동에 14억9800만원 상당의 단독주택을 보유한 상태였다. 신규 다주택자가 된 것이다. 경 의원은 고양시 덕양구 오피스텔 분양권을 2억원에 매도하고, 공항동 아파트 전세도 얻었다.
경 의원은 24일 “몸이 불편하신 처가 어르신을 위해 매입한 것이다. 전세를 끼고 샀고, 어르신이 지내기 편한 곳으로 모셨다. 두 채까진 필요 없는 거 같아 한 채는 올 초 정리했다. 성남 집은 인근에 회사를 다니는 딸을 위해 산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무 민주당 시의원은 부인 명의 경기 수원시 영통구 매탄동 삼성아파트를 팔고 인근의 다른 아파트를 구입했다. 김 의원 부인은 경기 의왕시 삼동 다세대주택도 추가 매입해 다주택자가 됐다. 김 의원 부부는 당산동 상가도 소유하고 있다. 김 의원은 “아내가 저와 상의하지 않고 한 일이다. 서울 집값은 너무 올랐고 경기도에서 살 만한 곳을 샀다고 하더라. 저도 이번에 신고하면서 알았다”고 말했다.
노승재, 서윤기, 송도호 시의원도 신규 주택 구입으로 다주택자가 된 사례다. 노 의원은 서울 송파구 풍납동 연립주택, 서울 강동구 길동 오피스텔을 보유한 상태에서 풍납동 다세대주택(3억4000만원)을 추가 매입했다. 서 의원의 배우자는 관악구 봉천동 아파트를 팔고 인근 연립주택(6억3500만원), 다세대주택(6억6000만원) 두 채를 매입했다. 송 의원은 관악구 은천동 아파트를 보유한 상태에서 봉천동의 복합건물(3억8841만)을 매입했다. 우형찬 의원은 모친 사망으로 아파트 3채를 상속받아 4주택자가 됐다.
민주당은 지난해 다주택자들의 주택처분 서약을 받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다주택 처분은 거의 이뤄지지 않았고, 되레 보유 건물 수를 늘린 의원들이 등장한 것이다.
서 의원은 “아파트를 팔아서 무주택으로 있는 것보다 집을 사두는 게 낫겠다고 생각했다. 나이가 들면 부모님도 모셔야 하고, 자식도 커가니 준비한 것”이라며 “재개발 지역인데, 실거주 목적으로 입주하려고 매입해 놓은 것이다. 아내가 ‘노후 준비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해서 샀던 것 같다”고 말했다.
송 의원은 “아파트가 오래돼서 재개발지역으로 옮겨야겠다 싶어 샀다. 아파트는 올 초 팔았다”며 “투자용이 아니라 실거주 목적으로 구입한 것이다. 지금은 전세를 살고 있다”고 말했다.
노 의원은 “전세를 살고 있었는데 집주인이 갑질을 해 옆집을 샀다. 당에서 팔라고 해서 내놨는데 1년 동안 안 나갔다”며 “다른 연립주택은 세입자가 있어 팔지도 못하고 애매한 상황이 됐다. 오피스텔도 싸게 내놨는데 보러 오는 사람이 없다”고 했다.
강대호 의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최다 주택 보유자로 이름을 올렸다. 강 의원 부부는 서울 중랑구와 경기도 가평군에 다세대주택 21채, 연립주택 4채 등 25채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신고 때보다 5채 줄어든 건 가평군 연립주택 5채를 팔아서다. 강 의원은 2017년 6월 가평역 인근 밭(전)을 사 건물을 세운 뒤 2019년 대지로 지목변경을 했다. 강 의원 부부가 소유한 건물 가액만 35억1798만원 상당이다.
이정인(22채) 성흠제(12채) 이석주(10채) 시의원 등 주택을 10채 이상씩 지닌 의원 명단도 달라지지 않았다. 이정인, 이석주 의원은 지난해 두 채씩을 팔았고, 성 의원은 보유 매물을 그대로 유지했다.
서울시의원 109명이 신고한 부동산 총액(고지 거부를 제외한 신고 총액)은 1387억5447만원으로 지난해 신고액(1260억1526만원)보다 127억3921만원 증가했다. 재산 총액은 1380억7932만원에서 1562억8553만원으로 182억621만원이 늘었다. 재산 증가의 70%가 부동산 불로소득으로 발생한 것이다.
재산 증가 상위는 최영주 시의원이다. 최 의원 재산은 26억원이 늘었는데, 대부분이 송파구 삼전동 빌딩 매도 수익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최 의원은 해당 빌딩 가격을 44억9729만원으로 신고했지만 실거래가격은 89억원이었다.
부부 명의로 주택이나 상가 등 건물 4채 이상을 지니고 있는 시의원 15명의 재산 총액은 430억4329만원에서 485억3451만원으로 54억원가량 늘었다.
김헌동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부동산건설개혁본부장은 “임대사업을 하셔야 할 분들이 공직에 가 계신 것”이라며 “공직자들이 다주택 처분 약속도 안 지키는데 젊은이들이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대해 신뢰할 수 있겠느냐”고 비판했다.
전웅빈 문동성 박세원 기자 imung@kmib.co.kr
▶文 대통령 20억7692만원… 1억2700만원↑
▶대권주자 빅3 재산, 윤석열 69억>이낙연 30억>이재명 29억
▶국민의힘 29명 다주택… 팔겠다던 민주당 10여명 그대로 보유
▶최재성, 남양주 수동면에 아내 이름으로 임야 3억원 샀다
▶그들의 ‘강남스타일’… 경제부처 고위직 60%가 강남3구 거주
▶재산 평균 14억… 부동산 등 영향 1년새 1억3000만원 늘어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