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도 9개 도의 시·군 지역 고용률이 동시에 감소했다. 상·하반기 모두 고용률이 감소한 것은 2013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 경기도 동두천과 양평이 고용률이 가장 낮은 시·군이었고 경남 김해, 경기도 시흥의 실업률이 타 시·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통계청은 2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0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시·군별 주요 고용지표 집계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8개 특별·광역시를 제외한 9개 도의 시·군이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시 지역의 고용률은 59.5%, 군 지역은 67.0%였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각각 1.0% 포인트, 0.3% 포인트 감소했다. 같은 기간 시 지역 취업자는 1299만6000명, 군 지역 취업자는 206만5000명으로 전년과 비교했을 때 각각 0.7%(9만3000명), 1.4%(2만9000명) 줄었다.
지난해 상반기에도 시 지역과 군 지역의 고용률은 각각 2.0% 포인트, 0.9% 포인트 하락한 바 있다. 상반기와 비교했을 때 감소폭은 줄었지만 하반기에도 고용 감소가 지속된 것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대면 서비스업, 숙박업, 교육업 등에서의 충격이 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청년층의 타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지난해 하반기 시 지역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4만3000명(-7.9%), 군 지역은 1만6000명(-9.6%)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령층(55세 이상) 취업자는 시 지역에서 16만6000명(4.5%), 군 지역에서 2만8000명(2.6%) 각각 늘었다. 이에 따라 시 지역 청년층 취업자 비중은 12.8%로 전년 동기보다 1.0% 포인트, 군 지역(7.4%)에서도 청년 취업자 비중이 0.7% 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시 지역의 실업률은 경남 김해가 6.2%로 가장 높았고 경기도 시흥(6.1%), 안산(5.9%)이 뒤를 이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코로나19에 따른 대면 서비스업 타격이 이어지는 가운데 주요국 경제 봉쇄에 따른 영향이 반영되면서 시·군 중 제조업에 기반을 둔 지역의 경우 특히 취업자 감소폭이 깊었다”고 설명했다. 군 지역 중에는 경남 고성(3.9%), 충북 진천(3.5%)의 실업률이 높았다. 시별 고용률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도 서귀포(73.2%)였고, 군별로는 경북 울릉(84.3%)이 높았다.
세종=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