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세균 국무총리는 20일 “화이자와 모더나의 백신은 내년 1분기까지 접종이 어렵다”고 밝혔다. 그리고 코로나19 백신 확보가 늦어진 것에 대해 “(지난 7월 당시는) 백신 의존도를 높일 생각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총리가 나서서 백신의 접종 계획과 그간 확보 과정의 문제점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국민에게 투명하게 밝히고 이해를 구하는 모습이었다. 총리가 아니라 코로나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의 책임 있는 모습으로 느껴졌다.
최근 국민과 의료계는 백신 확보와 접종 계획에 대해 매우 혼란스러웠다. 정부의 매번 다른 메시지와 단일화하지 못한 위기관리 소통 창구 등 중구난방 그 자체였다. 지난달 10일 방역 당국은 “국내 백신 접종은 내년 2분기 이후 진행”을 시작으로 “2020년 연말까지 3000만명분은 충분히 계약”이라 했고, 보건복지부는 미국 유럽과 달리 한국은 백신 접종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도 했다. 컨트롤타워의 문제점을 보여준 사례들이다. 백신과 같은 중차대한 정책과 대국민 메시지는 위기관리 소통의 원칙 하에 이뤄져야 한다. 솔직한 사과, 투명한 정보 공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메시지, 소통 창구 일원화 및 신속한 소통 대응 등이 기본 원칙임에도 무엇 하나 제대로 된 소통이 있었나 싶다.
지금은 국가 위기 상황이다. 어떻게 백신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방안과 대책을 논의해야 한다. 백신 확보를 위한 총리 주도의 ‘민관 합동 범정부 백신 태스크포스(TF)’ 구성과 역할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다국적 기업과의 백신 확보 협상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한 협상 전문팀이 주도해야 한다. 바이오 제약산업 전문가, 국제 거래·협상 전문가, 복지부 담당자, 정부 조달·입찰 전문가 및 변호사로 TF를 조직해야 한다. 이것이 국제 스탠더드다.
둘째, 백신 접종 전략과 접종 체계에 대한 계획과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 백신의 국내 승인에 대한 사전 준비, 백신의 보관·유통 그리고 접종에 이르기까지 인프라 구축과 행정 지원체계의 면밀한 준비를 지금부터 시행해야 한다. 특히 백신 접종 대상자 우선순위의 전략 논의와 국민적 합의를 구하기 위한 절차와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코로나19 백신은 여전히 과학적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긴급사용 승인이라는 이름이 말해주듯 백신 접종 과정에서 여러 가지 난관에 봉착할 가능성이 크다.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와 백신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에 대해 위기관리 소통을 효과적으로 해야 하는데 우려가 크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지난 18일 코로나 백신의 접종 준비와 일정을 발표했다. 내년 2월 하순을 목표로 일차적으로 의료 종사자(긴급 일차 접종 1만명, 3월 내 300만명) 접종을 완료할 예정이다. 고령자는 3월 하순, 그 외 일반인들은 4월 이후 접종을 시작할 방침이다.
미국의 경우 좀 더 구체적이고 세분화한 접종 우선순위 전략을 갖고 있다. 전미과학공학의학한림원이 작성한 백신의 접종 최종 계획은 다음과 같다. 최우선 접종 대상자(Phase 1a)는 고위험 의료 종사자들과 응급 대응 요원이며, 그다음 대상자인 Phase 1b는 고위험 동반상병 보유자와 집합시설 거주 고령자다. 그리고 Phase 2는 12학년 이하 교사, 학교 직원, 아동 보호사, 고위험 노동자(필수 산업 종사자 등), 중등도 위험 동반상병 보유자, 노숙자, 집단 시설 거주자, 구치소 및 교도소 근무자와 기타 고령자 순이다.
우리나라는 2019년 기준 의료인(의사 간호사 치과의사 등) 수가 대략 52만명에 달한다.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행정관리 근무자를 포함해 80만~100만명의 의료 종사자가 백신 접종 일차 대상자가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최재욱 (고려대 의대 교수·예방의학)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