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에 대한 ‘중국 책임론’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코로나19 팬데믹 사태에 대한 조사는 반드시 세계보건기구(WHO) 주도로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대응에 향후 2년간 20억 달러(약 2조5000억원)을 내놓을 계획도 밝혔다.
18일(현지시간)부터 이틀 일정으로 시작된 제73회 세계보건총회(WHA)에서 개막식 연사로 나선 시 주석은 “코로나19가 통제된 뒤 WHO 주도로 코로나19에 대한 전 세계적 대응에 대해 포괄적으로 검토하는 방안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코로나19에 대해 개방적이고 투명한 태도를 가져왔다”면서 “객관적이고 공정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조사를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 주석의 발언은 앞서 유럽연합(EU)을 비롯한 120여개국이 코로나19 팬데믹 사태에 관한 독립적 조사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내놓기로 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 여파로 사상 처음 화상회의로 진행되는 올해 WHA에선 중국 정부의 코로나19 초기 대응에 관한 조사 문제가 핵심 의제로 떠오른 상태다.
EU가 초안을 작성한 결의안에는 WHO가 주도한 코로나19 대응으로부터 얻은 경험과 교훈을 재검토하기 위해 ‘공정하고 독립적이며 포괄적인 평가’를 요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결의안은 호주 정부가 당초 제안했던 ‘코로나19 발원지 중국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조사’보다는 다소 완화됐다. 결의안은 이번 WHA에서 공개 및 논의될 예정이다.
시 주석은 더불어 “코로나19 대응 지원을 위해 2년간 20억 달러를 지원할 계획이며 중국이 개발하는 코로나19 백신은 공공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20억 달러가 WHO에 지원된다면 연간 10억 달러, 즉 미국이 기존에 내놨던 연간 4억 달러의 2.5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원하는 것이 된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날 WHA 시작에 앞서 영상 메시지를 통해 “코로나19 대응에서 (국가 간의) 약간의 연대는 있었지만, 결속을 다지지는 못했다”고 돌이켰다.
이날 화상회의에 참여한 문재인 대통령은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에 대해 “인류를 위한 공공재로서 전 세계에 공평하게 보급돼야 한다”면서 “올해 1억 달러의 인도적 지원을 계획 중이며, 그동안 축적한 데이터도 국제사회와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WHO는 대만의 옵서버 자격 논의는 올 연말로 연기하기로 했다. 대만은 ‘하나의 중국’을 주장하는 중국의 반발로 2016년부터 총회에 참석하지 못하고 있다.
권지혜 임성수 기자 jhk@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