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고성군이 대형 산불 특별방지 대책을 내놨다.
함명준 고성군수는 14일 오전 군청 대회의실에서 주민참여형 특별산불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2018년 3월 죽왕면 산불, 지난해 4월과 지난 7일 발생한 토성면 산불 등 3년째 이어져 온 대형 산불의 연결 고리를 끊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고성을 비롯한 동해안 지역에는 매년 3~5월마다 초속 20~30m가 넘는 강한 바람인 ‘양간지풍(襄杆之風)’ 때문에 작은 불씨가 대형 산불로 번지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1996년 고성 산불과 2000년 동해안 산불, 2005년 양양 낙산사를 잿더미로 만든 산불과 지난해 고성·속초·강릉·동해 등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 역시 양간지풍이 피해를 키웠다.
군은 산불 조심 기간 화목보일러의 사용을 제한키로 했다.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 화재통계에 따르면 화목보일러에 의한 불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1832건이 발생하는 등 화재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지난 7일 토성면에서 발생한 산불도 화목보일러실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군은 강원도의 지원을 받아 화목보일러를 기름보일러로 대체해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신속한 산불 진화를 위해 산림 인접 마을에 비상소화전을 설치한다. 비상소화전 설치가 어려운 경우 물탱크를 설치하는 등 대안을 마련키로 했다. 건축 허가 시 산불 영향평가를 도입해 불에 잘 타지 않는 건축자재 사용을 유도하고, 산림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확보해 건축행위가 이뤄지도록 할 예정이다. 각 읍면에 잔가지 파쇄기를 설치해 가을 수확 후 영농부산물을 집중적으로 파쇄해 봄철 산불의 주된 원인인 영농부산물 소각 행위를 원천 차단한다. 마을별로 ‘마을 산불 자치진화대’를 결성, 운영한다. 군은 자치진화대를 대상으로 산불 초동 조치를 비롯해 노약자 대피 방안 등에 대해 주기적인 교육과 훈련을 실시할 계획이다.
군은 탱크로리, 농약 살포기 차량 등 산불 진화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장비를 사전에 파악, 보유 기관·단체와 협약을 체결해 산불 장비의 상시 동원 체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군민이 참여하는 산불방지대책회의도 정례화해 주민 의견을 폭넓게 수렴할 방침이다. 함 군수는 “산불 없는 안전한 고성을 만들기는 행정력만으로는 달성될 수 없고, 군민들이 함께 해 줘야 가능하다”며 “군민과 함께 지혜를 모아 산불 방지 대책을 실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고성=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