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서울 거주자의 타 지역 아파트 매입 거래량이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보유세 인상과 대출 규제 기조 등 다주택자 타격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일반적 규제 대응이 ‘똘똘한 한 채’에 해당하는 서울 집 사수로 귀결되면서 정책 목표인 서울·수도권 집값 안정에 과연 기여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판단이 엇갈린다.
6일 공개된 부동산 큐레이션 서비스 경제만랩의 한국감정원 매입자 거주지별 통계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거주자의 타 지역 아파트 매입 거래량은 3만1444건으로 2018년(4만1070건) 대비 23.44% 감소했다. 2013년(2만9439건) 이후 최저 수준이다. 서울 사람들이 가장 많이 매입한 경기도 아파트 거래량의 경우 지난해 2만580건으로 2018년(2만8245건) 대비 27.14% 하락했다. 인천도 2018년 2779건 수준에서 지난해에는 2484건으로 전년 대비 10.62% 감소했고 대구는 2019년 422건으로 14.05%, 대전과 광주도 각각 16.98%, 34.09% 줄었다.
서울 거주자들의 타 지역 아파트 매입이 줄어든 것은 연이은 정부 대책으로 대출 규제와 보유세 강화 등 조치가 이어지자 다주택 투자 수요가 감소한 영향으로 해석된다. 특히 2주택 이상 보유자에 대한 종부세가 중과되고 공시가격 인상으로 보유세 부담이 커지면서 서울 거주자들이 타 지역 아파트 원정 거래량을 줄이고 서울 시내 똘똘한 한 채에 집중하는 경향이 확대됐다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경향은 서울 아파트와 타 지역 간 아파트 중위가격 격차가 갈수록 커지는 통계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지난해 1월 4억원대였던 서울-경기 아파트 중위가격 격차는 올해 1월 5억5597만원까지 벌어졌다. 업계 관계자는 “시장 내 투자자들은 지방 대신 고가 아파트 규제의 풍선효과를 받고 있는 9억원 이하 서울 아파트에 집중하는 편이 더 효율적이라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발표된 한국감정원 주간 아파트가격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주 0.02% 상승에서 0.1% 포인트 줄어든 0.01% 상승으로 상승폭이 7주 연속 줄어들었다. 다만 강남 지역 고가 아파트 거래 및 호가가 주춤한 대신 9억 이하 가격대 서울·수도권 중저가 아파트들의 ‘갭 메우기’는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감정원 측은 “중저가 단지의 상승세는 계속되고 있으나 12·16 대책 이후 보유세 부담이 커진 강남 3구 내 재건축 단지와 그간 급등한 단지들은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