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 창원시를 2030년까지 모든 장벽과 경계가 사라진 ‘경계 없는 하나의 도시’ 우리 모두의 창원으로 만들겠습니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6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새해는 창원특례시의 원년을 실현하고, 주요 역점사업들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허 시장은 창원특례시 실현을 위해 20대 국회 마지막까지 법안 통과를 촉구할 계획이다. 20대 국회에서 불발되더라도 ‘21대 총선 공약화’를 통해 연내 재상정 처리를 반드시 이끌어 낼 방침이다. 창원 마산 진해가 합쳐진 통합시 인구가 120만명에 다다른 만큼 반드시 특례시로 승격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창원시가 그 어느 곳보다 살기 좋은 도시가 되려면 물리적 통합을 넘어 화학적 융합으로의 전환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지난 10년의 평가와 함께 수립에 들어간 창원비전 2030의 큰 골격이 완성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창원비전 2030’의 비전은 ‘경계없는 하나의 도시, 창원’이다. 시민과 시민이 경계없이 협력하는 도시, 성장의 경계가 없는 도시 등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허 시장은 통합 창원시 출범 10주년인 오는 7월 1일 시민의 날에 ‘창원 2030’ 비전을 발표한다.
이를 위한 6대 추진전략도 밝혔다. ‘다양한 산업포트폴리오로 든든한 경제’ ‘세계와 소통하며 경쟁하는 해양·물류’ ‘하나로 이어주는 빠르고 편안한 교통망’ ‘아름다운 수목과 푸른바다로 가꾼 생태·환경’ ‘평생을 책임지는 안정된 주거인프라’ ‘배움과 나눔, 함께 누리고 즐기는 시민문화’ 등이다.
그는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도 꺼내놨다. 당장 스마트 선도산단과 강소연구개발특구 조성, 수소액화 생산기지 구축사업, 1000억원으로 확대되는 창원사랑상품권, 한국 GM 창원공장 고용 위기극복 등이 그것이다. 또 두산중공업이 국내 최초로 개발한 발전용 수소 가스터빈이 국내 에너지산업의 새로운 먹거리로 자리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허 시장은 “사람의 가치가 존중받고 불평등과 차별이 없는 공정한 사회를 향한 도전이 될 대도약과 대혁신의 해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성원과 협력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