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 위기 농촌살리기 해법 모색” 경북, 각계에 귀 기울인다

Է:2019-06-18 19:27
ϱ
ũ

도, 정책포럼 출범·1차 행사 진행

경북도청에서 18일 열린 ‘농촌살리기 정책포럼’ 출범식과 제1차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지방소멸은 국가의 존립을 흔드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소멸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된 지자체 10개 중 7개를 보유한 경북도가 18일 도청에서 ‘농촌살리기 정책포럼’ 출범식과 제1차 포럼을 열었다. 출범식에 이어 열린 포럼에서 전문가들은 지역 재생을 위한 어젠다와 소멸 위기에 처한 농촌을 살릴 정책 대안을 잇따라 제시했다.

최양부 전 청와대 농림해양수석비서관은 “지난 30여년간 농촌 소멸을 막기 위해 추진했던 대책들의 실효성을 냉정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전 비서관은 이를 토대로 농촌 공간 개조, 청장년 중심의 전문화된 법인 경영체 확대, 미래형 농업 확산 등을 해법으로 내놨다.

송미령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사람과 공동체가 어우러진 농촌을 만들기 위해서는 교육과 일자리 창출 간 선순환 구조 확립, ‘농촌 3·6·5 생활권’ 구현, 농촌다움의 복원, 농촌의 문화적 가치 제고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농촌 3·6·5 생활권’은 30분 이내 소매·보건·보육 등 기초생활 서비스, 60분 내 문화·교육·창업 등 복합서비스, 5분 내 응급실 등 긴급 연락체계가 갖춰진 생활권을 말한다.

노승복 충남 청양군 마을만들기 지원센터장은 “행정과 주민을 잇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궁극적으로는 주민이 중심이 돼 다양한 민간조직이 참여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북지역 농촌은 지방 소멸과 저출생·고령화, 불균형 발전이라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연평균 6500여명의 청년들이 학업과 일자리 등의 이유로 타 지역으로 떠나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지난해 발표에 따르면 향후 30년 내 소멸할 고위험 지자체 10개 지역 가운데 7개 지역이 경북 농촌지역(의성·군위·청송·영양·청도·봉화·영덕)이다. 농촌살리기 정책포럼은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경북 곳곳에서 농촌개발, 지역농업과 6차 산업, 귀농·귀촌, 청년 일자리, 농촌 삶의 질 등 다양한 주제의 현장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포럼에는 유관기관과 학계, 농업인 단체 등 다양한 기관이 참여한다.

이동필 ‘농촌살리기 정책포럼’ 공동대표는 “지방 소멸은 주민생활의 불편뿐만 아니라 국가의 존립을 흔드는 중요한 문제”라며 “지역 스스로도 일하는 방식을 바꾸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위기감을 갖고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