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7 전당대회를 앞둔 자유한국당이 경선 막바지까지 ‘박근혜 프레임’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황교안·오세훈·김진태(기호순) 후보 중 누가 새 당대표로 선출된다 하더라도 박 전 대통령의 정치적 유산을 극복하는 것이 과제로 남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한국당이 박 전 대통령 탄핵을 둘러싼 갈등과 입장차를 극복하지 못한다면 최악의 경우 내년 총선을 앞두고 분당(分黨)에 이를 수도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유력 당권주자로 꼽히는 황 후보는 최근 TV 토론회에서 박 전 대통령 탄핵을 부정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발언을 쏟아내 ‘탄핵 부정’ 논란에 휩싸였다. 황 후보는 지난 21일 토론회에서 김 후보로부터 최순실씨의 태블릿PC가 조작됐다는 의혹에 대한 질문을 받자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보고 있다”고 답했다. 또 앞선 토론회에서도 “(박 전 대통령이) 돈 한푼 받은 것도 인정되지 않았는데 탄핵이 타당한가 의문이다” “(탄핵) 절차상의 문제가 있다” 등의 발언을 했다. 당내 박 전 대통령 지지자 표심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되지만 “국민 대다수가 찬성한 탄핵을 부정하면서 당을 퇴행 논란에 빠뜨렸다”는 안팎의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황 후보가 당대표가 되면 당 안팎에서 박 전 대통령 탄핵 프레임으로 황 후보에 대한 공격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25일 “일부 후보들이 자기 정치와 박 전 대통령 지지자의 한 줌 표심을 의식해 한국당에 불리한 프레임을 스스로 꺼내든 자충수를 뒀다”고 지적했다. 당 관계자도 “새 지도부가 이 문제를 매듭짓지 못하면 앞으로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당내 경선에서 이 문제가 불거져 보수 진영 전체가 공멸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황 후보도 이날 고성국TV에 출연한 자리에서 이를 의식한 듯 탄핵과 관련된 질문에 “2년 전부터 얘기해 다 정리가 된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황 후보가 당권을 잡아도 중도 표심을 얻기 위해서는 박 전 대통령과 거리두기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그 과정에서 박 전 대통령 지지 그룹의 반발에 직면할 수도 있다.
‘탈(脫)박근혜’ 기치를 앞세운 오 후보에게도 실제 박 전 대통령 지우기는 만만치 않은 과제다. 오 후보가 당대표에 선출되면 내년 총선 공천권을 바탕으로 친박근혜 세력 인적 쇄신에 나설 것으로 보이지만 당내 상당한 영향력을 지닌 친박근계의 반발을 어떻게 잠재울 수 있을지가 변수다. 탄핵 반대 세력과 박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대구·경북(TK)을 기반으로 ‘친박 신당’을 창당할 것이라는 소문도 계속 나오고 있다.
탄핵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해온 김 후보가 당대표에 당선된다 해도 박 전 대통령 극복은 장기 과제로 남을 수밖에 없다. 당 관계자는 “김 후보가 이번 전대를 통해 확실한 존재감을 보이는 데는 성공했지만 ‘박근혜 타령’만으로는 제1야당을 이끌어가는 데 한계가 많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5·18광주민주화운동 폄훼 논란까지 휩싸인 김 후보가 당권을 잡으면 한국당의 우경화 논란은 거세질 수밖에 없다. 박상병 인하대 초빙교수는 “한국당 차기 지도부가 계속 ‘우향우’만 고집한다면 내년 총선을 앞두고 수도권을 중심으로 중도·보수 신당 창당 움직임이 본격화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황·김·오, 누가 되더라도 넘어야 할 난관 ‘박근혜 프레임’
최악의 시나리오는 총선 전 분당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