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플라스틱 프리 도시’에 도전한다. 시청사에 1회용 컵 반입을 전면 금지하고 2022년까지 사용량 50%를 줄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서울시는 19일 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1회용 플라스틱 없는 서울’ 계획을 밝혔다. 기본 방향은 1회용 플라스틱을 생산·유통·소비하지 않는 문화를 정착시키고 불가피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활용을 극대화한다는 것이다.
앞서 서울시와 자치구, 산하기관은 1회용 컵이나 비닐봉투 사용을 자제하는 ‘1회용품 제로’를 실천해왔다. 우산비닐커버 대신 빗물제거기를 사용하고 업무 공간에서는 1회용 컵을 일절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내년에는 민간위탁기관까지 이를 확대 적용하고 2020년 이후에는 시의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는 민간사업장으로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시청 내 시민과 직원들의 1회용 컵 반입이 전면 금지된다. 야구장과 같은 시립체육시설과 공원, 한강시민공원, 밤도깨비 야시장 등 공공장소를 비롯한 시·구 주관 장터와 야외 행사·축제장에서도 1회용품이 점차 사라진다. 이들 장소에 입점한 매점이나 음식점, 푸드트럭의 경우 신규계약 시 사용수익허가 조건에 ‘1회용품 사용억제’ 내용이 포함된다. 특히 고척돔과 잠실야구장에서 사용하는 1회용 비닐응원 막대는 구단과 협의를 거쳐 내년 새로운 응원 대체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젓가락부터 식기까지 1회용품을 많이 사용하는 장례식장 문화도 개선한다. 서울시는 내년 시립병원 보라매·서울의료원 2곳을 ‘1회용품 안 쓰는 장례식장’으로 시범운영할 예정이다. 비닐식탁보 대신 종이식탁보를 사용하고 다회용 식판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2020년에는 시립병원 전체로, 2021년에는 민간병원으로도 확대한다.
다만 민간으로의 확대 시행을 강제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상위법에 과태료 규정이 없기 때문에 서울시 조례로도 이를 강제할 수 없다. 하지만 서울시는 시 관계기관에서부터 강력하게 ‘플라스틱 프리’를 실천해 확산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황보연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시는 법보다 더 강하게 이 캠페인을 진행할 것”이라며 “계약이나 협약·위탁 조건에 (플라스틱 프리를) 넣어서라도 바꿔가겠다는 의지”라고 설명했다.
업종별 ‘서울형 자율협약’도 릴레이로 체결해 1회용품 줄이기 실천 운동을 확산시킬 계획이다. 우수 사업장에 대해서는 인센티브를 부여하거나 홍보해주는 방식으로 다른 사업장 참여를 유도할 예정이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서울시, 1회용 플라스틱 2022년까지 50% 줄인다
전국 최초 ‘플라스틱 프리 도시’ 도전… 종합계획 발표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