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인 소비 침체는 물가상승보다 저소득층의 소득 정체가 더 큰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가계의 소비여력과 소득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 저소득층 중심의 소득개선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10일 KDI ‘소득분위별 실질구매력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물가상승이 저소득 가계에만 특별하게 부담으로 작용하지는 않았다. 2003∼2016년 통계청 가계동향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소득분위별 물가상승률을 보면 소득 1분위(소득 하위 20%)와 5분위(소득 상위 20%)의 연평균 물가상승률은 각각 2.26%, 2.22%로 큰 차이가 없었다. 소비자물가지수를 구성하는 460개 소비 품목은 소득 분위에 상관없이 동일하지만 개별 품목별 가중치는 소득분위별 지출 비중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그러나 소득분위별 실질구매력(명목소득/소비자물가)의 격차는 같은 기간 크게 확대됐다. 2003년 이후 1분위의 실질소득은 연평균 1.20%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5분위는 1.90%였다. 즉 1분위의 월평균 실질소득은 2003년 123만원에서 2016년 143만원으로 20만원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5분위는 646만원에서 825만원으로 179만원이나 늘었다. 매년 0.7% 포인트의 구매력 격차가 확대되면서 지난 13년간 1분위와 5분위 간 실질구매력 격차는 10% 이상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구매력 격차가 커진 이유는 1분위의 60대 이상 가구 비중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근로소득이 정체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장기 소비 침체, 저소득층 소득 정체 탓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