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부머’ 은퇴前 재무·건강·여가 정밀 진단

Է:2016-12-29 19:05
:2016-12-29 21:22
ϱ
ũ

노후준비지원 5개년 계획… 801만명 대상 190억 투입

‘베이비부머’ 은퇴前 재무·건강·여가 정밀 진단
정부가 2020년까지 190억원을 투입해 전 국민 노후준비 지원에 본격 나서기로 했다. 국민들이 건강검진 받듯 자신의 재무, 건강, 여가, 대인관계 상황을 정밀 진단받고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우선 베이버부머(1955∼1964년생) 801만명을 대상으로 은퇴 전에 최소 1차례 이상 노후준비 진단과 상담,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29일 국가노후준비위원회를 열고 ‘제1차 노후준비지원 5개년 기본계획(2016∼2020년)’을 확정했다. 지난해 12월 노후준비지원법 시행에 따라 처음 수립됐다.

기본 계획은 국민의 전반적 노후준비 수준이 미흡한 데다 노후준비 서비스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는 판단에서 마련됐다. 지난 7월 복지부 노후준비 실태조사(1539명 대상)에 따르면 노후준비 평균 점수는 100점 만점에 62.8점에 불과했다. 재무 분야는 54.8점으로 특히 낮았다. 반면 65세 이상 노인이 확충해 주길 바라는 서비스는 보건의료·건강관리(59.7%) 소득지원(40.6%) 고용(33.2%) 등 순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우선 노후준비서비스 활성화와 정책기반 마련에 힘을 쏟기로 했다. 국민연금공단의 전국 지사 107곳에 설치된 ‘노후준비지원센터’를 방문하면 본인의 재무상태를 진단받을 수 있다. 1차로 공·사적 연금 가입 내역 조회, 노후필요자금 대비 부족 자금을 파악하는 자가 진단이 이루어지며, 2차로 노후준비 전문가들이 현재 자산상태와 현금흐름 등을 파악해 개선 방법을 조언해 준다.

또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의 통합 가입액을 시뮬레이션한 결과에 따른 노후부족 자금 안내서를 ‘초록색봉투(Green envelope)’에 담아 주기적으로 발송하고 상담 서비스를 실시하는 사업을 시행한다.

복지부는 초록봉투 사업 참가자를 2018년 4만명, 2020년에 10만명까지 늘릴 방침이다. 아울러 같은 센터에서 비재무 분야(건강, 여가, 대인관계)의 노후준비를 진단받고, 그에 따라 필요한 관계 기관을 연결해주는 서비스도 실시된다.

복지부는 2018년까지 국민이 스스로 노후준비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표준 진단지표를 개발키로 했다. 노후진단 지표는 연령별, 성별로 다르게 개발되며 청년 세대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애플리케이션도 개발해 보급할 계획이다.

글=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