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로 한·일 양국 간 공조가 긴요한 시점에 아베 신조 총리의 발언이 다시 파장을 낳고 있다. 아베 총리는 3일 한국정부 등에서 요구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 대한 사과 편지에 대해 “털끝만큼도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한국정부에서 아베 총리의 사죄 편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 같다. 이에 대해 어찌 생각하느냐”는 오가야 준야 민진당 의원의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다. 한국정부가 지난달 30일 사죄 편지 등 일본정부의 ‘추가적인 감성적 조처’를 기대한다고 한 것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이에 대해 일본 여론을 의식한 발언이라는 해석이 있다. 우파들은 사죄 편지 요구에 대해 지난해 12월 양국 외무장관 간 위안부 문제 합의로 ‘사죄와 반성’은 종결됐는데 무슨 소리냐고 비난한다는 것이다. 특히 일본정부는 한국정부가 사죄 편지 작성을 ‘추가 조처’라고 표현한 데 대해 ‘다시 골대를 옮기고 있다’는 불만을 갖고 있다고 한다. 일본 전문가 사이에서는 우리 외교부가 오해를 자초한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본인들의 최근 정서를 감안하면 외교부가 ‘추가 조처’가 아니라 ‘후속 조처’라는 용어를 사용했어야 했다는 것이다. 이를 감안하더라도 아베 총리의 발언은 경솔하다고 할 수밖에 없다. 지난해 합의 당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은 “아베 총리는 일본국 총리로서 다시 한번 위안부로서 많은 고통을 겪고 심신에 걸쳐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를 입은 모든 분들에 대해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표명한다”고 말했다. 사죄 편지에 담길 내용은 기시다 외무상이 대독한 정도일 것이다. 이것이 ‘털끝만큼도 생각하지 않을’ 정도로 힘들고 까다로운 문제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이 정도 정성과 예의도 없이 한·일 간 가장 민감한 사안이 마무리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아베 총리는 지도자 자격이 없다.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로 일본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의 조속한 체결을 한국에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 문제는 한국에서 가장 민감한 사안 중 하나다. 바닥까지 떨어진 한·일 국민 간 신뢰 회복이 전제돼야 한다. 아베 총리는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사죄 편지 등 ‘후속 조처’를 생각해야 한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사설] 아베 총리 ‘군위안부 사죄 편지’거부 경솔하다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