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에서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합의추대론’이 가라앉자 이번엔 ‘전당대회 연기 논쟁’이 불붙고 있다. 논쟁의 핵심은 총선 승리를 이끈 ‘김종인 체제’를 언제까지 유지하느냐에 대한 입장 차이다. 당내에서는 최대 ‘주주’인 문 전 대표와 김 대표의 전략적 제휴가 여전히 필요한 만큼 김 대표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전대 연기가 불가피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25일 교통방송라디오에 출연해 ‘전당대회 연기론’과 관련, “그런 것도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전당대회를 통해서 당권교체를 하는 것은 너무 당연한 것”이라면서도 “어떤 시기 선택이라든지 또는 선택의 방법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잘 고려해서 저희들이 지혜로운 당의 모습을 만들어나가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김종인 체제’를 좀 더 끌고 가야 한다는 것이다.
당권주자로 꼽히는 김진표 당선인도 CBS라디오에 나와 “전당대회를 조급하게 7월에 하는 것은 당을 계속 당내 경쟁 상황으로 몰고 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반대한다”며 “(전대를) 하반기로 연기해서 그전에 당이 다시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쇄신의 내용을 가지고, 전략을 세워가지고 그때 가서 김 대표의 추대론이냐 경선이냐, 이런 걸(토론을) 해야 한다”고 했다.
반면 원칙대로 7월에 치러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찮다. 이상민 의원은 YTN라디오에 나와 “비대위 체제는 어느 경우나 원칙적으로 가능하면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해서라도 최소화해야 한다”며 “그냥 막연히 지금 상황이 복잡하니까 연기하자, 이런 것은 안 된다”고 했다.
한 중진의원도 “전대를 연기한다고 당권 주자들이 안 뛰는 게 아니다. 경선 준비 기간이 길어지면 계파갈등만 더 오래 드러난다”며 “내년에 대선을 앞두고 싸움 나는 것보다 차라리 지금 먼저 하는 것이 나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조만간 당선인 대회와 원내대표 경선 등을 거치면서 전대 개최 시점에 대한 당의 중론이 모일 것으로 전망된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김종인 없으면’… 더민주, 이번엔 전대 연기론 논쟁
합의추대론 가라앉자마자 점화… 이종걸·김진표 등 불가피 주장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