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에서 ‘원유철 비대위’ 체제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원유철 원내대표를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인하기 위한 전국위원회 개최가 사실상 무산됐다. 오는 26일로 예정된 당선인총회에서 의견 수렴이 이뤄진 뒤에야 비상대책위원회가 꾸려질 전망이다.
19대 초·재선 의원 중심의 ‘새누리 혁신모임’은 원 원내대표의 비대위원장 퇴진을 요구하는 연판장을 돌리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총선 참패 후폭풍에 휩싸인 여당의 리더십 공백 상태가 지속되면서 연일 계파 간 파열음만 노출되는 모양새다.
황영철 김영우 하태경 오신환 의원 등 혁신모임 소속 의원들은 19일 국회에서 원 원내대표를 만나 22일로 예정됐던 전국위원회를 취소하라고 했다. 이에 원 원내대표는 “검토해보겠다”고 답했고, 당선인총회를 열라는 요구도 받아들였다. 면담 이후 원 원내대표는 “당선인 워크숍을 26일 소집키로 했다”며 “(전국위원회 소집은) 하게 되더라도 그 이후가 되지 않겠느냐”고 밝혔다.
원 원내대표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현재 내 신분은 비대위원장이 아니고 (최고위에서) 추대된 비대위원장으로서 대표권한대행”이라며 “비대위원장이 무슨 대단한 벼슬이라고 욕심을 내겠느냐”고 했다. 비대위원 인선에 대해선 “당내 반대를 떠나 법적인 문제가 없다면 내가 비대위원을 구성해 ‘원샷’으로 끝내는 게 좋지만 고민 중”이라며 “이에 대한 법률 자문을 받고 있다”고 했다.
이에 앞서 원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원내대표단회의를 열고 “하루빨리 이 비상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가장 이른 시일 내 차기 원내대표를 선출하고 선출된 원내대표에게 비상대책위원장직을 이양하려 한다”고 했다.
그러나 비박(비박근혜) 진영에선 “원 원내대표는 아직도 비대위원장에서 물러날 뜻이 없다는 의미”라고 반발했다. “총선 참패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는 지도부에 몸을 담았던 원 원내대표가 끝까지 책임을 피하면서 욕심을 부리는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당 일각에선 ‘원유철 비대위’에 대해 친박(친박근혜) 주류가 차기 원내대표와 당대표 등 지도부를 친박 위주로 꾸리려는 포석으로 보고 있다. 원 원내대표가 일단 당을 추스르는 데 앞장선 뒤 당권 레이스에 뛰어든다는 시나리오도 나돌고 있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지금 비대위를 꾸리도록 하면 원 원내대표 혼자 비대위를 짠 것인지, 누구 입김으로 한 것인지 알 수 없지 않느냐”고 했다. 심재철 의원은 “코미디도 이런 코미디가 없는 헛꼼수”라며 “원 원내대표는 지금 즉시 사심을 버리고 비대위원장직에서 물러나 당을 살려야 한다”고 했다.
새누리당 중앙위원회도 성명을 통해 “선거 참패에 책임이 있는 당 지도부 인사를 비대위원장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했다. 혁신모임은 원 원내대표가 당선인총회를 열기로 하는 등 일부 요구를 수용하자 일단 ‘연판장 서명’ 활동을 중단키로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자 모두 보기]
▶2016 총선기사 모음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연판장 위력… ‘元 비대위원장’ 급브레이크
새누리 연일 계파간 파열음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