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총선은 과거와 달리 민심을 요동치게 했던 대형 이슈가 터지지 않았다. 흥행 요소로 작용했던 인물 대결도 기대치에 못 미친다는 평가가 나왔다. 전략공천을 통해 본선에 직행한 거물급 인사들은 고전을 면치 못했다. 오히려 여야 텃밭의 ‘민심 이탈’이 국민적 관심을 받게 됐다. 여당의 지지 기반인 영남 지역에서 위기감이 높아진 새누리당 지도부는 읍소 전략까지 꺼내들었다. 야권 분열 구도가 굳어지면서 야당의 심장부인 호남 지역은 이미 갈라진 상태로 국민의 선택을 기다리게 됐다. 최근 경제 위기를 놓고 경쟁하듯 쏟아졌던 각종 공약 역시 주목받지 못했다. 이슈, 인물, 정책이 없는 이른바 ‘3무(無) 선거’에서 여야 각 정당은 정치권 전반에 대한 혐오감 달래기에만 급급한 모습이다.
경선 없이 본선 무대에 진출한 후보들이 고전하고 있는 것도 이번 총선의 특징으로 꼽힌다. 여야 모두 현역 의원을 컷오프하고 전략적으로 투입한 인사들이 정작 지역에선 지지를 못 받고 있다는 얘기다.
최근 여론조사를 보면 새누리당 텃밭인 대구에 사실상 전략공천을 받은 4명의 후보 중 확실한 우세는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성을이 여성우선추천지역으로 선정되면서 지역구를 옮겨 출마한 이인선 후보는 이 지역 현역인 무소속 주호영 후보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북을의 양명모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홍의락 후보에 맞서 고전 중이다. 현 정부에서 장관을 지낸 정종섭 후보(동갑)와 추경호 후보(달성) 역시 새누리당 출신 무소속 후보들과 엎치락뒤치락 접전을 치르고 있다.
단수·우선추천을 주도했던 이한구 전 공천관리위원장은 “개혁적 인물을 영입하려면 최종 선거까지 이길 수 있도록 마음고생을 덜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정당의 의무”라고 강조했었다. 전략공천을 하려면 험지가 아닌 당 우세지역에 해야 한다는 논리였다. 이번 총선에 여권 출신 인사들이 대거 무소속으로 나섰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이한구식 전략공천 후유증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
야권 심장부인 광주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더민주 전략공천 1호인 양향자 후보(서을)는 국민의당 천정배 후보를 좀처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정청래 의원이 컷오프되면서 서울 마포을에 투입된 손혜원 후보도 새누리당 김성동 후보에 비해 열세다. 문재인 전 대표가 직접 영입한 조응천 후보(경기 남양주갑)는 새누리당 심장수 후보에게 뒤지고 있다.
심 후보는 8년간 원외당협위원장을 지내며 지역 기반을 다져왔다. 조 후보의 전국적 인지도도 튼실한 지역 기반 앞에선 역부족인 셈이다. 경기도 성남 분당갑에 전략공천된 김병관 후보는 같은 정치 신인인 새누리당 권혁세 후보와 힘겨운 싸움을 벌이고 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11일 “당이 공천하고 전폭적으로 밀면 된다는 말은 이제 통하지 않는 것 같다”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
▶2016 총선기사 모음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0대 총선 특징 ‘3제’] 안 먹히는 ‘낙하산 공천’… 후폭풍만
진박 4명 대구서 우세는 전무, 양향자·조응천도 힘에 부쳐… 유력 후보 ‘컷오프’ 의미 없어져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