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도로에서 가장 막히는 도로는 집회·행진이 집중되는 중구 남대문로인 것으로 나타났다. 요일과 시간대별로는 주말이 시작되는 금요일 오후 5∼7시와 일상으로 돌아오는 월요일 오전 7∼9시가 가장 혼잡한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가 318억 건의 차량 통행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2015년 차량통행속도’를 분석해 31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시내 전체 도로의 하루 평균 통행속도는 25.2㎞/h로 전년(25.7㎞/h)보다 떨어졌다. 이는 자동차 등록대수가 늘어난 데다 도시고속도로 교통량이 증가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도심 도로는 17.9㎞/h로 전년(17.4㎞/h)보다 오히려 속도가 높아졌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로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줄고 도심 집회·행사가 감소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도로별로는 남대문로가 15.1㎞/h로 가장 혼잡한 도로였고 서초구 나루터로(15.4㎞/h), 중구 마른내로(15.9㎞/h), 압구정로(16.1㎞/h), 청계천로(16.2㎞/h)가 뒤를 이었다. 대체로 도심과 서초·강남 지역 도로가 통행속도가 낮았다. 마장로, 새창로, 역삼로, 와우산로, 우정국로도 시속 16㎞대에 머물러 도로별 차량 통행속도 최하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가장 정체가 심했던 날은 2월 16일이다. 설 연휴(2.18∼20)를 앞두고 명절 준비로 차량이 몰린데다 비까지 내리면서 20.4㎞/h의 최저 통행속도를 기록했다.
시간대별로 차량 통행속도가 가장 느렸던 날을 순위로 매긴 결과 모두 비오는 날이 1위를 차지해 차량 통행속도에 날씨가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월별로는 1월과 6월이 25.8㎞/h로 통행속도가 가장 높았고, 11월이 24.4㎞/h로 가장 낮았다. 1월은 겨울방학, 6월은 메르스 여파로 교통량이 적었던 반면 11월은 집회 등 각종 행사가 상대적으로 많이 열렸던 것이 교통 혼잡의 원인이었다.
2015년 차량통행속도는 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간 도로 통행속도는 TOPIS(서울시 교통정보시스템)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 ‘서울교통포털’을 통해 상시 볼 수 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서울도로 金 오후 5∼7시·月 오전 7∼9시 가장 혼잡… 집회·행진 잦은 남대문로 제일 막혀
市, 작년 차량 통행 빅데이터 분석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