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과 민의 벽을 허물어야 합니다. 민간 건물에 구청사가 입주하게 되면 재정도 안들고 지역 상권은 커지고 시민들은 일 보기가 좋아져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습니다.”
김기동 서울 광진구청장(70·사진)은 지난 26일 국민일보와 가진 신년인터뷰에서 서울동부지법 이전부지와 KT부지 등을 포함한 구의역 일대 재정비촉진구역내에 ‘관상복합청사’를 짓겠다고 밝혔다.
현재 광진구청사는 1966년에 지어진 노후화된 건물로 신축이 시급하다. 그러나 구 재정여건상 건립비 재원이 부족해 그 대안으로 KT가 추진중인 주상복합건물에 구청사를 입주시키겠다는 것이다.
김 구청장은 “서울시와 빠른 협의를 거쳐 재정비촉진사업을 통한 구청사 이전과 동부지법 및 KT부지 개발을 조속히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재정비촉진사업은 KT가 사업시행자로 전체 7만8147㎡에 업무시설(40층) 2개동 및 공동주택 6개동, 호텔 1개동 등의 건립을 계획하고 있다. 구청사는 업무시설 1개동에 연면적 3만㎡ 규모로 입주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김 구청장은 “현 청사부지는 사업비 충당을 위해 일부 매각을 검토하고 있으며, 나머지 부지는 기존 건축물 리모델링을 통해 주민편의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광진구는 중곡, 건대, 자양, 구의·광장 등 4개 권역별로 지역생활권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김 구청장은 “직장과 집이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직주근접 원칙에 따라 지역을 중심으로 근린생활시설, 문화시설 등을 짓는 도시개발 계획이 금년에 가시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구청장은 수요자 중심의 복지를 강조했다. 그는 “복지는 국가사업처럼 획일적으로 해서는 안되며 지역의 특성을 살려 수요자 중심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무상보육 등 국가사무를 지방에 위임할 경우에는 국가가 비용을 전부 부담해야 한다면서 누리과정(만 3∼5세 무상보육) 보육대란에 중앙정부의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김 구청장은 지방분권과 관련해 “지방자치를 제대로 하는 게 중요하다”며 “무슨 권한을 뺐는게 아니고 중앙과 지방이 분업체제로 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구청장은 또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역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에 구민우선고용제를 실시하고, 특히 청년들이 창업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컨설팅 등 교육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김재중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신년 초대석-김기동 서울 광진구청장] “상업 건물에 구청 입주… 관상복합청사 짓겠다”
돈 안들고 지역 상권 활성화… 지역 특성 살린 복지 해야 보육대란 중앙정부 책임 커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