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 살았던 신석기인들의 생활을 보여주는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20일 개막한 ‘신석기인,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다’ 특별전이 그것으로 내년 1월 31일까지 상설전시장 1층 특별전시실에서 개최된다.
이번 신석기시대 전시의 키워드는 ‘적응’이다. 빙하기 이후 지구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신석기시대가 시작되는 1만년 전 무렵 한반도는 오늘날과 비슷한 환경이 갖추어졌다. 동물상과 식물상의 변화도 이뤄졌다. 신석기인들은 정착 생활을 시작하고 토기 등 도구를 개발하는데, 이 같은 ‘신석기 혁명’을 환경 변화에 대한 성공적 적응이란 관점에서 조명한다.
전시에서는 낚시, 작살, 그물추, 고래뼈, 돌고래뼈 등 어로 활동 장비를 비롯해 조와 기장 흔적이 남은 토기, 도토리와 곡물의 껍질을 벗기고 가루를 내기 위한 갈돌과 갈판, 신석기시대 집단묘지인 부산 가덕도 장항 유적, 토우 등 474점의 신석기 유물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2005년 발굴 이후 10년간의 보존처리를 마친 창녕 비봉리 출토 나무배(위 사진) 실물이 처음으로 공개된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토기인 제주 고산리 출토 ‘고산리식 토기’(오른쪽)도 볼 수 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한반도 신석기인의 생활 한눈에… 국립중앙박물관 내년 1월까지 ‘적응’ 키워드로 특별전 개최
고래뼈·토우 등 474점 전시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