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기어코 드러난 ‘차이나 쇼크’ 대응전략 시급하다

Է:2015-08-20 00:26
ϱ
ũ
중국발(發) 세계경제 위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어두운 중국 경제 전망으로 인해 세계경제가 침체의 늪에 빠질 것이라는 두려움이 엄습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위안화 평가 절하에도 불구하고 투자심리가 냉각되면서 중국 증시는 18일 6% 이상 폭락했다. 19일엔 장중 5% 이상 급락하다 상승 마감하는 등 널뛰기 장세를 보였다. 차이나 쇼크와 더불어 미국 기준금리 인상 임박은 신흥국의 자본 유출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는 다시 세계경제에 악영향을 끼치는 연쇄 충격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의 올해 성장률이 7%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해외 주요 투자은행들의 전망(평균 6.9%)은 세계경제에 암운을 드리운다. 7% 미만은 1990년 이후 25년 만에 처음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기 둔화 우려는 증시 불안에서 시작해 실물경제 위축으로 이어지는 법이다. 중국 경제가 흔들리면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을 비롯해 신흥국이 큰 타격을 받는다. 신흥국 자본 이탈도 심각하다. 최근 13개월 동안 19개 신흥국의 순자본유출 규모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의 2배인 1조 달러에 육박할 정도다. 모건스탠리는 중국에 의한 세계경기 침체가 멀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중국이 최대 교역국인 한국 경제는 설상가상이다. 국내 증시는 직격탄을 맞았다. 코스닥은 전날 지수 700선이 붕괴된 데 이어 이날 4% 이상 급락했다. 특히 한국의 2분기 성장률(전분기 대비 0.3%)이 재정위기를 겪은 스페인·포르투갈 등보다 낮은 상황에서 중국발 악재는 우리가 저성장 기조에서 탈피하는 데 커다란 장애가 된다. 원·위안 환율이 5% 하락하면 국내 총수출이 약 3% 감소하고, 중국 성장률이 1% 포인트 낮아지면 한국 성장률은 최대 0.17% 포인트 떨어진다는 분석도 있다. 이런 위기 국면에서 정부와 기업은 경제 전략과 경영 체제를 다시 들여다보고 대응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최악의 시나리오를 상정한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도 마련해야 한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