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길 찾아 수도권으로 짐싸는 지방大… 이전계획 수립 20곳 중 8개大가 수도권行

Է:2015-04-04 02:25
ϱ
ũ

지방 학령인구 급감에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학생 충원율’ 등 점수 불리

살길 찾아 수도권으로 짐싸는 지방大… 이전계획 수립 20곳 중 8개大가 수도권行
지방대가 지방을 떠나 수도권으로 몰려들고 있다. 줄어드는 학령인구와 대학구조개혁의 칼바람을 피하기 위해서다. 대학이 빠져나갈 경우 지역사회에 미칠 영향을 우려해 해당 지역에선 지방대의 ‘탈출’을 막아야 한다는 움직임마저 일고 있다.

대학교육연구소는 교육부와 지자체에 정보공개를 청구해 2010∼2015년 대학 캠퍼스 이전계획을 파악한 결과, 이전계획을 수립한 대학 20곳 중 강원 경동대를 비롯한 8곳이 수도권으로 이전했거나 이전할 계획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2일 밝혔다.

충남 홍성의 청운대는 2013년 ‘인천 캠퍼스’를 열었다. 홍성 캠퍼스에 있던 학과 중 11개를 인천으로 이전했다. 지난해에는 경동대와 전북 예원예술대가 경기도 양주에 캠퍼스를 조성했다. 충남 금산 중부대는 최근 경기 고양시에 캠퍼스를 꾸렸다. 2011년부터 간호학과 등 보건의료분야 이전을 추진한 을지대도 올해 교육부로부터 이전계획을 승인 받아 경기 의정부에 캠퍼스와 부속병원을 착공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지방대 이전 바람은 지방의 학령인구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강원도교육청에 따르면 춘천의 한 고등학교는 올해 신입생 모집에서 270명 정원에 166명이 응시해 104명이나 미달됐다. 충남 논산은 고교 입학정원이 1932명인데 중학교 졸업생 수는 1365명에 그쳐 567명이나 모자랐다. 논산의 중학교 졸업생은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한 지방대 관계자는 “2018년부터는 고교 졸업생이 대학 입학정원보다 줄어든다는데 지방대는 이를 앞당겨 경험하고 있다”며 “수도권 이전은 그나마 인구가 많은 곳에서 살길을 모색해 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3일 각 대학이 정성평가보고서를 일제히 제출하며 본격화된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 평가에서도 지방대는 열세에 놓여 있다. 특히 정량지표 중 ‘학생 충원율’과 ‘졸업생 취업률’에서 불리하다. 인구가 줄어드니 관련 점수도 낮을 수밖에 없다. 대학교육연구소는 모의평가를 통해 구조개혁평가 최하등급 대학의 52.9%는 지방대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른 지방대 교무처 관계자는 “사람도 없는데 부실대학으로 선정돼 정부 재정지원 사업에서 배제되거나 학자금 대출이 제한되면 사실상 문을 닫아야 한다”며 “무슨 수를 쓰더라도 수도권으로 가는 게 해답”이라고 했다.

지역사회의 한 축인 대학이 떠나면 지역경제도 타격을 입는다. 지난달 17일 충북 제천, 경북 영주, 전북 익산 주민 800여명은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 모여 지방대의 수도권 이전을 막는 법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