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승건 토스 대표가 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토스답게 일하는 문화’에 대해 적었다. 최근 카카오톡 개편안에 냉담한 반응이 쏟아지면서 카카오 내부에서 토스 출신 홍민택 개인정보보호최고책임자(CPO)의 리더십에 대해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이를 의식하고 글을 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이 대표는 “토스답게 일하는 문화의 핵심은 DRI(직접 책임지는 개인·directly responsible individual)가 강력하게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라며 “이것은 보고 받는 임원이 아니라 실제 실무를 담당하는 팀원들이 회사를 대표하는 결정을 한다는 것”이라고 적었다.
이 대표는 DRI가 토스 내에서 강력한 지배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특정 실무자들의 업무에 대해 의견을 자유롭게 개진하고 비평할 수 있는 문화가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그는 “그런 전제가 없는 채 임원의 강력한 의견 개진만 존재한다면, 그건 그저 악성 탑다운 문화에 불과하다”며 “토스가 일하는 방식과 하등 상관이 없다”고 밝혔다.
이어 “개개인의 자율적인 결정이 때로는 회사 전체에 피해를 주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 갈 수 있다는 걸 모두가 잘 인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실제로 누군가의 결정이 회사에 큰 피해가 가는 결과가 되더라도 임원과 팀원들 모두 이 불행한 결과를 공동의 결정으로 인식하고, 문제를 어떻게 최소화하고 해결할 수 있는지 고민한다”며 “그 피해를 일으킨 팀원을 외부화하거나 조롱하는 건 토스답게 일하는 방식이 아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최근 카카오톡 개편을 둘러싸고 카카오 내부에서 홍 CPO의 리더십에 비판이 제기되자 토스식 의사결정 문화를 부각시키며 간접적으로 대응한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홍 CPO는 토스뱅크 대표 출신이다.
최근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카카오 직원으로 추정되는 이용자가 홍 CPO의 리더십을 지적하는 글을 올려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일부 개발·기획진 반대에도 홍 CPO가 ‘친구’ 탭 개편을 강행했다는 주장이다.
카카오는 개편안에 대한 혹평이 쏟아지자 지난달 29일 기존 친구목록을 카카오톡 친구 탭의 첫 화면으로 되살리고, 현재의 피드형 게시물은 별도의 ‘소식’ 메뉴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