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고양시는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해 노인 일자리, 건강관리, 스마트 돌봄을 아우르는 종합 지원정책을 본격 확대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시는 현재 19만2887명(전체 인구의 18.2%)에 달하는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민선 8기 공약인 고령자 생산지표 개발, 맞춤형 건강주치의 사업, AI 돌봄 플랫폼 구축을 적극 추진 중이다.
가장 눈에 띄는 정책은 노인 일자리 창출이다. 시는 오는 23일 ‘고령자 일자리 혁신 포럼’을 개최해 지속 가능한 일자리 방안과 정책 아이디어를 논의한다.
지난해부터 ‘고양형 고령자 생산지표’를 바탕으로 연구를 거듭해 일자리 활성화 정책을 도출했으며, 고용과 역량 개발 등 46개 지표를 통해 노인의 생산적 활동을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했다.
노인의 건강권 보장도 핵심 과제다. 시는 2022년부터 한의사회와 협약해 ‘어르신 건강주치의 사업’을 추진 중으로, 경로당·복지관 40곳과 한의원 28곳이 참여해 기초 진료와 상담, 맞춤형 건강관리를 제공한다.
지난해 대상자 3689명 중 95%가 재참여를 희망할 정도로 만족도가 높았다. 이외에도 ‘경로당 건강대학’ ‘청춘88 운동 프로그램’ ‘찾아가는 홈스피탈’ 등 다양한 보건·인지·운동 프로그램이 병행돼 실질적 건강 향상을 돕고 있다.
또한 스마트 돌봄 체계도 주목된다. ‘AI 말벗 로봇 서비스’는 시스템이 주 1회 전화를 걸어 안부를 묻고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2022년 54명에서 올해 300명으로 확대 운영됐다.
여기에 돌봄 로봇(100명), 음성 스피커(30명)를 대여해 정서적 지원과 긴급 상황 대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복약 관리와 만성질환 케어를 돕는 ‘AI 스마트 건강스위치 온(on)’도 도입돼 실시간 복약 알림, 운동·영양 처방 교육을 통해 노인의 자기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시는 앞으로도 일자리·건강·돌봄이 결합된 복합형 노인복지를 지속 확대해 급속한 고령화 속에서 어르신들이 안전하고 존엄한 노후를 보낼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확고히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초고령사회를 슬기롭게 헤쳐나가기 위해 노인 정책을 다각도로 펼치고 있다”며 “어르신들이 행복한 일상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사회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으로 촘촘한 복지를 넓혀 나가겠다”고 말했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