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최초로 로봇·드론 등이 일상이 된 미래도시가 광주에 들어설 전망이다.
광주광역시는 17일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 공약이자 국정과제로 공식 채택된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을 위한 사전 기획연구 용역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단순한 신도시 개발을 넘어서는 혁신적 미래형 복합신도시 건설을 위한 것으로, 총 1조5000억원 규모의 초대형 프로젝트다.
자율주행차, 로봇, 드론, 도심항공교통(UAM) 등 첨단 모빌리티 인프라와 인공지능(AI) 통합관제시스템을 갖춘 미래형 복합 시범도시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규제프리존과 테스트베드를 조성해 새로운 기술과 제품을 실증하고, 시민의 이동 편의와 안전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예를 들면 자율주행차가 기본 교통수단이 되고, UAM이 하늘길을 열며, AI 로봇이 택배배송·생활지원 등을 담당한다. 모든 인프라는 AI 통합관제시스템으로 연결돼 교통체증 없는 최적의 이동경로를 실시간 제공한다.
광주시는 시범도시 내에 주거·문화·휴식 기반시설을 갖춰 일과 삶이 공존하는 첨단 모빌리티 생태계를 조성하고, 연구개발 연구소·모빌리티 솔루션 기업·AI 기업 등을 유치할 계획이다.
광주시와 국토부는 공동으로 2억원 규모의 사전 기획연구를 착수하고, 올해 안에 큰틀에서 밑그림을 완성할 예정이다. 2026년에는 기본구상 용역을 추진해 마스터플랜을 수립할 계획이다. 2028년 착공, 2030년 말 준공이 목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대한민국 AI 산업을 선점한 광주에 미래도시인 AI 모빌리티 신도시가 건설된다면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프로젝트가 될 것이다”며 “이재명 정부와 함께 지금껏 그 누구도 누리지 못한 첨단기술과 인공지능이 생활 전반에 펼쳐지는 새로운 삶을 선물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이은창 기자 eun526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