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면허를 취득한 신규 간호사 수의 60%에 달하는 경력직 간호사가 병원을 이탈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 공백 등의 원인으로 간호사 근무 여건이 악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력 간호사 대거 이탈 현상이 거듭되면서 경력 단절 간호사 수도 20만명을 넘어섰다. 현장에서는 의료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간호사 대 환자 수’ 법제화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대한간호협회는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건강보험통계를 분석 결과를 24일 밝혔다. 협회에 따르면 2023년부터 올해까지 3년간 신규 간호사 면허 취득자는 7만686명이다. 그러나 동기간 전국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수는 25만4566명에서 28만3603명으로 2만9037명만 증가했다. 신규 인력 60%가량의 경력직 간호사가 병원을 떠난 것이다.
문제는 상급종합병원에서 시작됐다. 신규 간호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근무지이지만 간호사 증가율은 지난해 5.19%(3604명)에서 올해 1.92%(1405명)로 감소했다. 지난해 채용 증가 폭이 전년 대비 61% 급감한 수치다. 2023년 대규모 전공의 사직 이후 경영난에 허덕이는 병원 측이 신규 간호사 채용을 줄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업무가 증가한 경력직 간호사들은 이직과 휴직을 택했다. 간호 인력 이탈 악순환이 이어지면서 경력 단절 간호사 수도 매년 급증해 2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됐다.
신규 간호사는 중소병원을 향할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상급종합병원과 달리 종합병원과 병원급 의료기관에서는 간호사 채용이 증가했다. 종합병원 간호사 수는 올해 7.57%(7156명) 늘어 전년도 증가율인 4.4%(3984명)의 1.7배를 기록했다. 병원급 의료기관도 지난해 8.52%(3251명)에서 올해 9.3%(3853명)로 소폭 늘었다. 신규 간호사들이 아예 취업 자체를 보류하는 때도 늘고 있다고 협회는 분석했다.
간호계에서는 간호사 대 환자 수의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간호협회 관계자는 “간호사의 과도한 업무 부담을 줄이고 환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서라도 간호사 대 환자 수를 법제화하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며 “이를 통해 간호사들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환자들에게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