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부동산 시장 분석 기능을 강화한다. 실거래자료를 활용한 가격·거래량·매물량 분석에 더해 은행별 내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관리 등 주택금융 정보를 추가로 살피기로 했다. 이를 통해 부동산 정책 전문성을 한 단계 높이겠다는 취지다.
22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시 부동산정책개발센터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부동산 시장 모니터링 개편안’을 시의회에 보고했다. 해당 센터는 지난 5월 주택실 산하 주택정책지원센터가 확대 개편된 조직이다.
이번 개편안은 센터가 분석하는 자료의 범위를 넓힌 것이 핵심이다. 우선 가격 자료 관련 다른 기관 지수와 서울형 가격 지수에 더해 사업지별 실거래 평균거래가격도 분석하기로 했다. 거래량의 경우 매매·전월세 거래량과 매물량뿐 아니라 입주권·분양권 거래와 경매 거래량도 살핀다.
주택금융의 경우 주담대 금리 외에 시중은행 대출금리, 정책금융, 은행별 내부 주담대 관리 내용도 분석 대상에 포함한다. 심리조사 대상 역시 서울지역 중개사 460명, 전문가 40명에서 서울과 연접한 10개 시 100명의 공인 중개사와 금융권 전문가 10명이 추가된다.
센터가 검토 의견을 제시하는 정비사업 대상도 확대한다. 지금까진 2000세대 이상 단지의 사업 시기 조정 시 검토 의견을 냈지만, 앞으로는 1000세대 이상 재개발과 재건축 단지의 계획 수립 및 인허가 전단계에서도 시장 영향과 관련한 의견을 밝힐 계획이다.
한편 센터는 최근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자 본격 분석 작업에 착수했다. 국토교통부에 1~5월 서울시 내 모든 아파트 매매·전세 계약의 실제 주소 정보를 요청했다. 보다 면밀한 분석을 위한 것으로 실제 주소 확보 후 등기부등본 열람 등을 통해 거래 특성을 살펴볼 계획이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