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임금 삭감 없는 ‘주4.5일제’ 시범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경기도는 19일 수원 라마다프라자호텔에서 주4.5일제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주재하는 타운홀 미팅도 함께 진행했다.
이날 행사는 이재명 대통령이 주4.5일제를 대선 공약으로 제시하는 등 경기도가 선도한 정책이 국가 아젠다로 떠오른 데 대해 실현 및 확산 방법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경기도 주4.5일제 시범사업의 핵심은 임금 축소 없이 노동시간을 단축하는 것이다. 참여 기업은 ㈜동진밸브 등 민간기업 67곳과 경기콘텐츠진흥원 등 공공기관 1곳을 포함해 총 68곳이다.
사업 유형은 기업 상황에 따라 주4.5일제(요일 자율선택), 주35시간제, 격주 주4일제 등으로 다양하게 운영된다. 경기도와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참여 기업에 노동자 1인당 월 최대 26만원의 임금보전 장려금과 기업당 최대 2000만원의 맞춤형 컨설팅, 근태관리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도는 일과 삶의 균형을 실현하는 동시에 지속가능한 노동문화를 정착시키는 일하는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겠다는 계획이다.
시범사업은 2025년부터 2027년까지 3년간 한시적으로 추진되며, 노동생산성·직무만족도 등 44개 세부지표를 통해 실질적 성과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적정 노동시간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 필요할 경우 중앙정부에 제도 개선을 건의해 전국 확산도 추진할 방침이다.
참여기업은 사회적기업, IT기업, 제조업, 언론사 등 다양한 업종과 규모로 구성됐다. 파주 소재 제조업체 휴그린㈜는 노동강도 완화를 위해 지난해부터 격주 4일제를 도입했고, 성남의 정보서비스 기업 ㈜둡은 2021년부터 주 35시간제를 실시하다가 이번 사업 참여로 주 30시간 근무로 노동시간을 더욱 단축했다.
협약식 후 ‘주4.5일제 일의 미래를 열다’라는 주제로 김 지사가 주재하는 타운홀 미팅이 이어졌다. 행사에는 김 지사와 68개 기업의 사용자 및 노동자 대표, 경기도의회와 경제단체 관계자 등 170여명이 참석했다.
특히 영국 최초로 주4일제를 시행한 사우스케임브리지셔 디스트릭트의 브리짓 스미스 집행위원장이 영상 축사를 보내, 영국 내 주4일제 확산과 긍정적 성과 사례를 공유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국민의 일주일을 바꿀 수 있도록 경기도형 주 4.5일제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겠다”면서 “우리 새로운 정부, 이재명 정부, 국민주권정부와 함께 의논하고 협의하면서 전국으로 확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다양한 업종과 규모의 기업에 주4.5일제를 적용하기 위해 예산 소진시까지 주4.5일제 시범사업 참여기업을 추가로 모집하고 있다. 모집에 관련된 내용은 경기도일자리재단으로 문의하면 된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