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가 미래 산업 전환에 필요한 외국인 인재 기반 확보에 나섰다.
부산시는 광역형 비자 시범 사업을 통해 반도체, 이차전지, 미래 차 부품 등 전략산업 분야에 필요한 글로벌 실무형 인재 1000명을 유치하고, 지역 정착과 취업까지 연계하는 통합 지원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이날 오후 시청 영상회의실에서는 해당 계획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광역형 비자 관계기관 회의’가 열렸다. 박형준 시장을 비롯해 부산대, 부경대, 동아대, 동서대 등 관내 14개 대학 총장·부총장과 부산출입국·외국인청, 부산상공회의소, 부산글로벌도시재단 등 관계기관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했다.

광역형 비자 시범 사업은 법무부가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한 사업으로, 부산시는 지난달 최종 선정됐다.
시는 앞으로 2년간 외국인 유학생 1000명을 유치하고 지역 정착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재정 요건 완화, 학기 중 인턴 허용, 산업 연계 교육과정 운영, 기숙사 및 생활 지원, 정주형 비자 전환 등 다양한 맞춤형 지원책을 마련한다.
참여 대학은 전담 전공을 중심으로 유학생을 선발하고, 산업 현장과 연계한 실습·인턴십·채용 프로그램을 운영해 정주율과 취업률을 함께 끌어올릴 방침이다.
시는 이번 사업을 교육부의 RISE(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 글로컬대학 등 주요 국책사업과 연계해 ‘부산형 글로벌 인재 전략’의 핵심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박 시장은 “광역형 비자 사업이 지역 대학과 산업계의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부산의 미래를 준비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