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사단 김승우 중위입니다. 도시락을 먼저 만들어 주시면 내일 바로 결제하겠습니다…”
광주에서 도시락업체를 운영하는 A씨는 지난달 11일 자신을 지역 향토사단인 육군 제31보병사단 소속 군인이라고 소개한 한 남성으로부터 한통의 전화를 받았다. 요지는 내일 훈련인데 미처 전투식량을 준비하지 못 했다며, 도시락을 준비해주면 하루 뒤 결제하겠다는 내용이었다.
A씨는 의심쩍었지만, 이 남성은 관련 공문과 신분증을 보내왔다. “단골이다”며 자신 업체의 메뉴를 꿰고 있는 것도 순간 든 의심을 사라지게 했다. A씨는 결국 “알겠다”며 주문받은 130만원 상당의 도시락 준비에 나섰다.
이후 도시락값을 결제하기로 한 다음날 이 남성으로부터 다시 전화가 걸려왔다. 이 남성은 “훈련중이라 카드사용이 정지된 상태다. 평소 거래하는 전투식량 납품업체가 있는데, 이곳에 전투식량 대금을 대신 결제해주면 도시락값과 함께 현금으로 결제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투식량 납품업체의 사업자등록증은 물론 전자세금계산서, 거래명세서를 A씨에게 보내왔다.
요구한 금액이 커 이번에도 의심이 들었지만, 자영업을 오래 해온 A씨는 주로 사후 결제하는 ‘관(官)’의 속성을 알았기에 또 한번 의심을 거둬들였다. A씨는 전날 이 남성으로부터 주문받은 도시락을 준비하는데 여념이 없어 딱히 의심을 오래 하지도 못했다고도 했다.
남성이 알려준 계좌에 도시락값을 제외한 6650만원을 3번에 걸쳐 송금한 A씨는 그때서야 ‘아차’ 했다. 최근 기승하는 군인, 교도관, 소방관 등을 사칭한 ‘노쇼 사기’에 제대로 당했다는 사실을 알아차린 것은 이미 돈을 보낸 뒤였다.
A씨는 경찰의 초기 대응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사기를 당했다는 사실을 알아차린 뒤 곧바로 신고에 나섰지만 24시간 운영된다던 관련 수사팀은 전화를 받지 않았다.
A씨는 “송금 직후 112에 전화해 피해 사실을 알렸다. 112 상황실에선 24시간 운영된다며 북부경찰서 보이스피싱 전담수사팀에 전화해보라고 했다. 하지만 전화를 받지 않았고, 다시 112에 전화해보니 이번엔 통합수사팀에 전화해보라고 했다. 그러나 이곳도 1시간 넘게 전화 연결이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결국 A씨 사건은 이달 초쯤 A씨가 돈을 보낸 계좌 소유주의 관할인 부산 동부경찰서로 이관됐고, 남성이 주문한 도시락은 진짜 단골손님들에게 전해졌다.
31사단 관계자는 “김승우 중위라는 사람은 31사단에 없다. 군 간부라며 사후 결제를 요구하거나, 대납을 요구하는 경우는 모두 사기”라고 강조했다.
북부경찰서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전담팀이나 통합수사팀이 24시간 운영되는 것은 맞지만 전화 연결이 안 된 경위에 대해선 파악하지 못 했다”며 “마지막 송금이 이뤄진 뒤 1시간 40분 만에 피해자가 경찰서에 방문해 신고 접수가 이뤄졌다. 피해자 입장에선 1분 1초가 아까우니 초기 경찰 대응이 아쉽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통상적인 절차에 비춰봤을 땐 딜레이가 된 부분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광주=이은창 기자 eun526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