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공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여우 5마리, 낭비둘기 5마리 등 토종 동물 번식에 유의미한 성과를 거뒀다고 16일 밝혔다. 서울대공원은 2023년부터 종보전센터를 새롭게 운영하면서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보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서울대공원은 지난해 5종 23수 번식에 이어 올해 상반기까지 멸종 위기 토종 동물 3종 11마리(여우 5, 저어새 1, 낭비둘기 5) 번식에 성공했다.
번식에 성공한 여우들은 국립공원연구원과의 개체 교류를 통해 야생으로 내보내 질 수도 있다.
이번에 번식된 낭비둘기는 지난해 11마리가 번식한데 이어 올해 상반기에 5마리가 증식했다. 서울대공원은 내년 낭비둘기 30마리 야생 방사를 목표로 노력하고 있다. 국내 야생에 200마리밖에 남지 않는 낭비둘기 보전 사업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토종동물 번식에 이어, 쿠바 홍학 2마리도 부화해 건강하게 자라는 모습이 관람객에게 공개되고 있다. 서울대공원에서 홍학이 번식에 성공한 것은 2019년이 처음이며, 2020년에 이어 올해가 세 번째다.

쿠바 홍학은 부모가 함께 알을 품으며, 포란(抱卵) 기간은 약 한 달 정도에 이른다. 부화 후 새끼 홍학의 깃털 색은 회백색으로 태어나며, 부모와 같은 선명한 붉은 빛의 깃털을 갖기까지는 약 2∼3년이 걸린다. 부화 후 새끼 홍학은 부모의 소낭에서 분비되는 ‘플라밍고 밀크’를 입에서 입으로 받아먹으며 자란다. 홍학은 암수 모두 포란과 수유, 육아에 적극 참여한다. 약 7일 정도 지나면 둥지를 떠나지만, 그 후에도 부모의 보호 아래에서 성장한다.
또한 호주 대표 종 에뮤 2마리도 17년 만에 태어났다. 동물원내 ‘호주관’에는 에뮤 수컷 1마리, 암컷은 3마리가 살고 있다. 암컷 3마리는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지난 1월초까지 14개의 알을 산란했다. 그리고 수컷이 그중 8개의 알을 포란해 50여 일이 지난 3월 중순 2마리가 탄생했다.
박진순 서울대공원장은 “그간의 멸종위기종 보전 노력과 생물 다양성 보전의 결과 서울대공원에서 다양한 종의 동물이 태어나 건강하게 지내고 있다”며 “앞으로도 새끼 동물들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