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세훈 서울시장은 23일 “(땅꺼짐 예방 목적으로) 매년 2000억원을 들여 30년 이상 된 하수관을 100㎞씩 개량했으나, 내년부터 2배인 연 4000억원, 200㎞ 규모로 늘려 정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표투과레이더(GPR) 장비가 서울 전역을 누비며 땅꺼짐(싱크홀) 사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미리 발견할 수 있도록 관련 장비도 3배 늘리겠다”고 덧붙였다.
오 시장은 이날 강남구 영동대로 지하복합개발 건설공사 현장을 점검한 뒤 “지하굴착 공사와 상하수도 지하 시설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투자를 해 도시 안전을 지키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오 시장의 이날 점검은 서울 곳곳에서 땅꺼짐 사고가 이어져 시민 불안이 커지자 이뤄졌다.
오 시장은 또 “최근 대형 사고는 굴착 공사장 인근에서 발생했다”며 “대형 굴착 공사장을 대상으로 월 1회 GPR 탐사를 하고 안전관리비를 대폭 늘려 공사비에 반영하겠다”고 강조했다. ‘우선정비구역도’(지반침하 안전지도)를 공개하지 않는 것에 대해선 “땅꺼짐을 예측하려면 토질, 지하수 흐름이 반영된 지도를 만드는 게 중요한데 그런 지도가 만들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GPR로 지하 2m까지 볼 수 있는데, 검사가 이뤄진 지역이라도 (서울안전누리 홈페이지에) 바로 공개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시는 이날 ‘지하공간 관리 혁신안’도 발표했다. 지하 20m까지 토사 변화량을 살필 수 있는 ‘지반침하 관측망’을 다음 달부터 운영한다. 실시간으로 땅꺼짐을 미리 감지할 수 있는 ‘스마트 계측 신기술’도 도입한다. 차량형 GPR 장비는 7대로 늘리고, 현재 9명인 지하공간 관리 조직을 30명 규모의 ‘지하안전과’로 확대한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